이재정 경기도 교육감이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의 딸 논문 논란과 관련해 “조 후보자의 딸이 쓴 것은 에세이”라며 “무엇이 문제인지 모르겠다”는 의견을 내놨다.
이 교육감은 22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조 후보자의 딸이 고등학생때 논문 제1저자라고 여기저기에서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참다못해 한마디 한다”며 입을 열었다.
그는 “2010년 당시 이명박정부 시절에 대학입시에 사정관제도를 도입하면서 여러가지 활동을 입시평가에 반영했다. 이런 활동의 일환으로 장려한 것이 학생들이 대학교수 등 전문가들로부터 보다 전문적인 교육을 받아 경험을 쌓는 것”이라며 “이런 실습이 끝나면 실습보고서 같은 것을 쓴다. 미국에서는 이런 보고서를 에세이라고 하는데 우리말 중 적절한 말이 없어서 논문이라고 부른다”고 설명했다.
이어 “미국에서는 초등학교 4학년부터 대체로 이런 에세이 쓰는 훈련을 한다. 이 경우 당연히 제1저자”라며 “기본적으로 연구를 하고 경험과 이해를 바탕으로 자기주장을 쓰는 것이다. 유감스럽게도 우리는 이러한 쓰기 교육이 부족했다”고 했다. 그는 ‘인턴’이란 말도 직장에서의 개념이 아니라 교육과 훈련과정을 의미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조 후보자 딸의 경우도 대학교수의 지도 아래 현장실습을 한 것이고 그 경험을 에세이로 써서 보고서를 제출한 것”이라며 “이것을 논문이라고 한다면 당연히 제1저자는 조 후보자의 딸”이라고 전했다.
그는 “자기 보고서를 자신의 이름으로 내는 것이 무엇이 문제인지 모르겠다”고 했다.
이 교육감은 자신의 글에 대한 네티즌 의견이 양분되자 거듭 관련 글을 올리며 설명을 이어갔다. 그는 “나도 수년간 논문도 썼고, 에세이도 써 봤으며 흔히 말하는 페이퍼도 썼다. 대학에 20년간 재직하면서 논문지도도 많이 해보았고, 에세이를 과제로 내준 적도 많다”며 “에세이는 굳이 우리 식으로 말하자면 일종의 보고서, 발표문 또는 수필과 같은 것”이라고 말했다.
조 후보자의 딸은 단국대 의대 교수가 주관한 의과학연구소 2주간 인턴십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이후 2008년 12월 대한병리학회에 제출된 영어 논문의 제1저자로 이름을 올렸다.
박민지 기자 pm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