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의 딸이 부산대 의학전문대학원 재학 당시 3년간 1200만원의 장학금을 받아 특혜 논란이 일고 있다. 조 후보자의 딸은 지도교수가 사재를 출연해 만든 장학회로부터 장학금을 받았다. 2018년까지 해당 장학회의 장학금을 지급받은 학생은 7명인데 이중 6명은 학교 측에서 선정했고, 조 후보자 딸만 장학회가 직접 지명해 ‘황제 장학금’이라는 비판이 나온다.
곽상도 자유한국당 의원이 부산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조 후보자 딸은 2015년 부산대 의전원에 입학해 이듬해부터 매학기 200만원씩 총 6학기 동안 1200만원의 장학금을 받았다. 장학금 지급 주체는 부산대 의전원 소속 노모 교수가 설립한 ‘소천장학회’다.
논란이 되는 부분은 지급 방식과 액수다. 2015년 설립된 소천장학회는 같은 해 1학기에 600만원, 2학기에는 200만원의 장학금을 내놓고 대학 측에 대상자를 선정해 달라고 의뢰했다. 1학기에는 학년별로 1명씩 4명에게, 2학기에는 1, 2학년 2명에게 지급해 달라고만 했을 뿐 다른 특별한 조건을 내세우지 않았다. 학교 측은 성적과 가정환경 등을 기준으로 1학기 4명(각 150만원), 2학기 2명(각 100만원)을 선정했다.
그런데 장학회는 2016년부터는 대상자 선정을 학교에 맡기지 않고 조 후보자 딸을 특정해 장학금을 줬다. 시험에서 낙제점을 받은 조 후보자 딸이 의전원 공부를 포기하려고 하자 지도교수인 노 교수가 격려 차원에서 장학금을 지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 후보자 딸은 입학 후 두 차례나 유급했다. 부산대 관계자는 19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장학회에서 조 후보자 딸을 지명해 장학금을 주겠다고 해 학교 측은 개입한 바가 없다”고 전했다.
가정 형편이 어려운 학생들에게는 단발성 장학금을 주면서 조 후보자 딸의 면학 의지를 북돋는 데는 수차례에 걸쳐 1000만원이 넘는 장학금을 몰아준 셈이라 비판이 거세다. 조 후보자 딸과 같은 기간 학교를 다닌 A씨는 “면학 장학금이 있기는 하지만 6학기 연속으로 받는 것은 절대로 아니다”라며 “내부 구성원 대부분이 ‘특정인 한 명이 어떻게 이렇게나 많은 장학금을 받을 수 있냐’고 불만을 토로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노 교수는 지난 6월 더불어민주당 소속 오거돈 부산시장에 의해 부산의료원장에 임명됐다. 곽 의원은 당시 청와대 민정수석이던 조 후보자가 노 원장 임명에 영향을 미친 것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했다. 하지만 부산시와 의료원 측은 “공모 절차를 거쳐 정당하게 임명됐다”고 반박했다.
심우삼 기자 s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