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9 개각에 따른 인사청문 정국에서 정의당이 또다시 ‘데스노트’(Death Note)를 작성할지 주목된다. 문재인 정부 들어 정의당이 부적격 판정을 내린 고위공직 후보자들이 낙마하는 일이 반복됐고 이를 놓고 정치권에서는 정의당의 데스노트라는 말이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김기식 전 금융감독원장 후보자, 최정호 국토교통부 장관 후보자 등은 정의당의 데스노트에 이름을 올린 바 있다.
정의당은 18일 현재 장관 및 장관급 후보자 7명에 대한 입장을 정하지 않은 상태로 알려졌다. 청문 과정에서 제기되는 의혹과 여론 추이 등을 고려해 최종 판단한다는 방침이다. 정의당이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 어떤 판단을 내릴지에 관심이다.
정의당은 지난 9일 개각 발표 당일 조 후보자에 대해 ‘합격점’을 준 바 있다. 당시 오현주 대변인은 논평에서 “사법개혁에 대해 꾸준한 의지를 밝혀왔다는 점에서 장관직을 수행하는 데 큰 문제가 없다고 본다”고 밝혔다. 하지만 조 후보자의 사법개혁 의지를 평가하지만, 조 후보자를 둘러싸고 사모펀드 74억원 투자약정 논란, 배우자의 부동산 위장매매 의혹 등이 불거졌다.
당내에서 미세한 온도 차가 감지된다. 심상정 대표는 지난 16일 페이스북 글에서 조 후보자에 대해 “정의당은 ‘답정(답은 정해져 있는) Yes’, ‘답정 No’ 모두 거부한다”며 “인사검증 과정을 꼼꼼히 지켜보고 국민의 상식과 눈높이에 맞춰 판단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사법개혁 의지와 능력을 의심하지 않지만 ‘폴리페서’ 논란처럼 자신이 쳐놓은 그물에 걸린 문제들이 있고, 조 후보자 임명이 민주당의 총선전략과 연계돼있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있다. 물론 도덕적 검증도 남아있다”고 했다.
은성수 금융위원장 후보자, 조성욱 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 이정옥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선 직접 청문회에 참여해 검증한다. 정의당 소속 추혜선 의원과 여영국 의원이 각각 정무위원회, 여성가족위원회 소속이다. 정의당은 다른 후보자의 적격성 여부도 철저히 들여다보겠다는 입장이다.
강주화 기자 rul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