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대통령 8·15 광복절 메시지…일본 관련 발언 수위 어떨까

입력 2019-08-11 15:38

일본의 수출 규제 국면을 맞아 문재인 대통령이 오는 15일 74주년 광복절 메시지에 담을 대일 메시지 수위에 관심이 커지고 있다. 문 대통령은 이미 마련된 연설문 초안을 놓고 참모들과 의논하며 최종안을 고심하고 있다. 연설에는 극일(克日) 발언이 주를 이루되, 전략적 대응을 위한 수위 조절과 함께 건설적인 한·일 관계에 대한 문 대통령의 구상이 담길 것으로 보인다.

11일 청와대에 따르면 문 대통령은 이번주 수석보좌관회의(12일)와 국무회의(13일 오전), 독립유공자 및 유족 초청 오찬(13일 오후) 등의 일정을 소화하며 일본과 관련한 발언을 할 예정이다. 8·15 광복절 연설을 앞두고 군불을 때는 성격의 메시지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이번 광복절 메시지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메시지 초안을 바탕으로 참모들이 함께하는 연설문 독회(讀會)가 진행 중이다. 노영민 비서실장이 주재하는 독회에는 주요 수석과 비서관이 참석해 문장 한줄과 단어 하나까지 논의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 관계자는 “비서실장이 독회를 주재하는 것도 청와대가 이번 광복절 연설에 신경을 쓴다는 증거”라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연설에서 “일본의 수출규제는 오히려 기회”라고 강조할 것으로 예상된다. 극일의 방향으로 언급했던 ‘남북 평화경제’ 메시지도 연설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 청와대 관계자는 “앞서 문 대통령이 일본의 수출 규제를 승자 없는 게임이라고 언급한 만큼, 일본에 대화를 요청하되 일본의 이번 조치가 국제 사회로부터 인정받을 수 없는 행위라는 점도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고 강조했다.

다만 광복절 전까지 일본이 어떤 움직임을 보이는지가 변수가 될 수 있다. 청와대가 수출 규제 국면 이후 일본 정부의 움직임을 주시하며 대응 수위를 조절하고 있기 때문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아직 연설문 최종안이 나온 것이 아니다”며 “광복절 즈음까지 상황을 반영해 연설문 수정이 이뤄질 것”이라고 했다. 향후 연설문 수위가 조절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 것으로 풀이된다.

문 대통령은 연설에서 대일 발언 뿐 아니라 광복절 자체의 의미도 강조할 것으로 전망된다. 광복절은 한국이 일본으로부터 해방된 것을 기념하는 동시에 임시정부 법통을 계승한 대한민국 정부 수립을 축하하는 날이기도 하다. 이에 따라 연설문에는 최근 다섯 차례나 북한이 발사체 도발을 감행함에 따라 분단 국면을 극복하고 북·미 대화 재개로 한반도 평화프로세스가 하루빨리 진행돼야 한다는 대북·대미 메시지도 담길 것으로 보인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