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개각 등 주요 인사 발표를 금요일에 진행하는 ‘금요일의 법칙’을 이어가고 있다. 여론의 관심이 떨어지는 주말을 이용해 비판의 목소리를 피하려는 의도라는 분석이 나오지만 청와대는 “검증을 포함한 일정을 맞추다 보니 시점이 금요일로 정해진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9일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를 비롯한 10명의 장관급 인사를 단행했다. 집권 3년차 첫 개각 발표도 지난 3월 8일 금요일에 진행됐다. 조 후보자의 후임 수석 인사발표도 지난달 26일 금요일에 이뤄졌다. 김상조 청와대 정책실장은 지난 6월 21일 금요일에 임명됐고, 김영식 청와대 법무비서관 등 5명의 참모들은 지난 5월 17일 금요일에 새롭게 청와대에 입성했다.
지난해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문재인 정부 ‘경제 투톱’을 동시에 교체한 장관급 인사인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김수현 청와대 정책실장 내정(11월 9일)도 금요일에 단행됐다. 조명래 환경부 장관 후보자 발표(10월 5일) 등도 모두 금요일이었다. 민갑룡 경찰청장도 금요일인 지난해 6월 15일 청장직에 임명됐다. 청와대 내부에선 ‘금요일이 인사데이’라는 말도 나온다.
또 이번 정부 들어 고위직에 내정됐지만 임명 이후 비위가 불거진 6명 가운데 4명은 금요일에 사퇴를 발표하기도 했다. 지난해 6월 16일 당시 안경환 법무부 장관 후보자는 상대 여성 몰래 혼인 신고를 했다가 재판에서 무효가 됐던 일이 밝혀지면서 처음으로 금요일에 사퇴했다. 황우석 사태 연루 논란을 빚은 박기영 과학기술혁신본부장 후보자도 지난해 8월 11일 금요일에 사퇴했다. 미공개 정보를 이용한 주식투자 의혹이 불거진 이유정 헌법재판관 후보자는 지난해 9월 1일 금요일에 사퇴의사를 밝혔다. 역사관과 종교관 논란을 빚은 박성진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가 국회 인사청문회 문턱을 넘지 못하고 사퇴 의사를 밝힌 것도 금요일인 같은 달 15일이었다.
청와대가 주말을 앞둔 시점에 인사를 발표하는 것을 두고 비판여론을 피하려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금요일 오후부터는 뉴스에 대한 관심도가 떨어지고, 주요 신문들이 토요일자 지면을 줄이면서 금요일 발생 사안이 비중있는 뉴스로 취급되지 않는 점도 금요일 발표의 배경 중 하나로 지목된다. 또 주말을 지나면서 주요 공직 후보자의 사퇴에 따른 파급력을 낮출 수 있다는 정무적인 판단도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 한 홍보업계 관계자는 “개각 발표가 계속 금요일에 이뤄지는 것은 우연의 일치가 아니다. 청와대의 판단이 들어간 사안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다만 청와대는 여론을 피하려는 의도가 아니라는 입장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검증에 시간이 걸리고, 고려한 사안이 많다보니 금요일에 발표하게 된 것”이라며 “이번 개각은 광복절 전주에는 완료해야 한다는 고려가 있었다. 모든 인사는 최종 후보자가 수시로 바뀌기 때문에 이런 점들이 인사 시점에 반영됐다”고 해명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