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태경 징계 미룰 수 없다”…바른미래당 갈등 격화되나

입력 2019-08-06 17:45 수정 2019-08-06 20:52
바른미래당 하태경(가운데)-유의동 의원이 18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정책회의에서 대화하고 있다. 2019.7.18. 연합뉴스


바른미래당 윤리위원회가 6일 최고위원인 하태경 의원에 대한 징계 심사에 착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안병원 윤리위원장이 “조사 개시를 미루는 것은 합리적이지 않다”고 언급함에 따라 징계 수위를 결정하기 위한 윤리위 차원의 조사도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인다. 앞서 하 의원은 손학규 대표를 향해 비난성 발언을 해 당 윤리위에 회부됐다. 비당권파인 하 의원이 징계를 받아 최고위원 직무가 정지되면, 최고위에서 수적으로 열세였던 당권파가 실권을 갖게 되는 상황이라 양측의 희비를 가를 칼자루를 당 윤리위가 쥐게 됐다.

당 윤리위는 이날 7차 전체회의를 열고 향후 계획에 대해서 논의했다. 안 위원장 취임 후 처음 열리는 상견례 자리로 현재 윤리위에 회부된 11개의 안건 및 윤리조사관 선임과 관련해 이야기가 오간 것으로 알려졌다. 손 대표가 새롭게 임명한 3명의 윤리위원을 포함해 9명의 위원이 전원 회의에 참석했다.

윤리위가 본궤도에 오름에 따라 하 의원에 대한 징계 심사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하 의원은 손 대표에 “개인 내면의 민주주의가 가장 어렵다. 나이가 들면 정신이 퇴락하기 때문”이라고 말해 당 윤리위에 회부됐다. 안 위원장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하 최고위원 건은 이미 전임 윤리위원장이 있을 때 결정된 사항이기 때문에 윤리위원 전원이 재논의를 요구하지 않는 이상 징계 심사에 착수할 수밖에 없다”며 “시점은 정해지지 않았지만 상식선에서 해야 한다. 시기를 미루는 것은 합리적이지 않다”고 했다. 윤리위는 이르면 8월 말에 열릴 것으로 예상되는 회의에서 하 의원의 징계 사안에 대해 논의를 할 방침이다.

하 의원의 징계 여부에 당권의 향방이 결정되는 만큼, 당권파와 비당권파 모두 윤리위의 행보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당헌·당규에 따르면 최고위 안건 투표시 가부가 동수일 경우 당 대표가 캐스팅보트를 쥐게 된다. 하 의원이 당원권 정지 이상 처분을 받아 최고위원 직무가 정지되면 비당권파 최고위원 자리가 한 명 줄어 양측이 동수가 되므로 손 대표에게 의결권이 주어진다. 최고위에서의 수적 우위를 바탕으로 손 대표의 당무를 막아온 비당권파의 전략에 차질이 생기는 셈이다. 이런 이유로 당권파 측은 윤리위가 최대한 빨리 결론을 내야 한다는 입장이다. 당 관계자는 “윤리위의 결정에 따라 당이 정상화될 수 있다”며 “추석 전까지는 무조건 결론을 내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비당권파 측은 하 의원에 대한 징계 심사 자체가 부당하다며 반발하고 있어, 윤리위 결정을 두고 양측간 갈등이 격화될 수도 있다. 비당권파 측 관계자는 “하 최고위원에 대한 징계는 말이 안 되는 것”이라며 “만약 징계 심사에 돌입할 경우, 당무위원회를 통해 해임 절차에 돌입하겠다”고 밝혔다.

심우삼 김용현 기자 s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