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일본 수출규제 시장 다변화로 맞선다

입력 2019-08-06 14:48

한국을 향한 일본 정부의 경제보복 조치와 관련해 제주도가 수출기업 및 연관 산업의 피해 최소화를 위한 긴급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제주도는 일본의 경제보복에 대응하기 위해 제주수출기업 및 관계기관 대책회의를 개최하고, 해외 수출다변화·기업경쟁력 제고 및 세제 지원방안·일본관광객 동향 대처 등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 추진하기로 했다고 6일 밝혔다.

도는 우선 제주수출 기업을 위한 종합적인 대책으로 수출규제 대응 전담 TF팀 및 제주기업 일본수출규제 애로지원센터를 설치·운영한다. 일본수출규제 애로지원센터에서는 수출 피해사례를 접수하고, 피해기업 지원대책 등을 마련한다.

2017년 8월부터 운영돼 온 동경사무소를 통해서는 제주기업의 일본수출 특별지원 체계를 구축한다. 도는 동경사무소를 활용해 현장비지니스 밀착지원·농산물 수출물류비 지원체계 개선·동남아를 중심으로 한 해외시장 다변화 정책을 추진, 제주기업의 일본수출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앞으로 제주수출기업들이 자체 기술개발에 따른 추가 자금지원 방안을 수립하고, 해외 바이어 통합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한편 피해사례 발생 시 ‘일본수출규제 애로지원센터’로 신고할 수 있도록 다양한 홍보활동도 전개한다.

수출의 해외시장 다변화를 위해 동남아 해외사무소 추가 설치문제도 검토되고 있다. 기존 중국 상하이와 일본 됴쿄 중심의 해외통상사무소 운영에서 벗어나 동남아 시장을 타깃으로 하는 통상거점 지역을 추가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이와함께 제주산 농산물과 농산가공식품 수출업체 및 생산농가를 대상으로 수출물류비 지원체계도 개선한다.

특히 수출용 제주광어에 대한 안정성 확보 등 품질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소라의 경우 내수 활성화를 위한 가공용 원물 확보·제품개발·유통 지원체계를 갖춰 나간다. 일본 이외에 아시아권 및 유럽시장을 통한 수산물 수출시장 다변화 정책도 추진한다.

일본의 이번 조치로 어려움이 예상되는 기업에 대해서는 지방세 납부기한을 연장하고, 징수유예, 체납처분 유예, 세무조사 유예 등의 지원
조치를 실시한다.

이밖에 관광산업 전반에 미칠 파장에 대비해 관련 업체와 일본시장에 대한 모니터링 및 협업 체계를 구축하고, 일본 젊은층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홍보 및 내국인 대상 온라인 마케팅도 강화한다.

도 관계자는 “일본은 제주의 경제와 밀접한 관계에 있고, 수출량이 많은 수출국”이라며 “일본과의 무역 분쟁이 장기화 또는 확대될 경우 제주 수출기업에 큰 타격이 우려되는 만큼 수출 유관기관·기업인과 함께 피해 최소화를 위한 대응전략을 적극적으로 강구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제주=주미령 기자 lalij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