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영민, 日 강제징용 협상안 관련 “피해자와 발표해도 될 수준의 합의 있었다”

입력 2019-08-06 11:55 수정 2019-08-06 12:10
노영민 대통령 비서실장은 6일 “사회지도층과 전문가가 이걸 했으면 좋았을 걸, 하고 충고하는 것 중 우리가 시도하지 않은 것은 거의 없다고 보면 맞다”며 일본의 화이트리스트 배제 결정에 앞서 정부가 다양한 외교적 노력을 기울였음을 시사했다. 노 실장은 이날 국회 운영위원회 전체회의에 나와 “항간에 일본이 결정할 때까지 정부는 무얼 했냐는 지적이 있는데 어떤 외교적 노력을 기울였느냐”는 고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에 이같이 답했다.

노영민 대통령 비서실장이 6일 국회 운영위원회에서 답변하고 있다. 뉴시스

노 실장은 민주평화당 유성엽, 자유한국당 정태옥 의원 등 야당 의원들의 질문이 이어지자 “세상에 겉으로 드러난 것만이 사실이 아니라고 말씀드리고 싶다”며 그간 정부 측 노력에 관해 설명했다. 노 실장은 “대법원 판결 이후 아이디어 수준의 제안, 공로명 전 대사를 포함해 정말 많은 제안이 있었다”며 “어떤 제안이든 현실성이 있으려면 피해자의 수용이 전제되어야 한다고 판단해 대법원 판결 이후 6~8개월간 심혈을 기울여 피해자들을 설득했다”고 밝혔다.

노 실장은 강제징용 피해자들에게 위자료를 지급하는 ‘1+1’ 기금안을 마련해 일본 측에 제안했던 것과 관련, “발표해도 될 수준의 피해자들과의 합의가 있었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노 실장은 “최선의 방법을 도출했고, 피해자 일부라든지 일본, 우리 기업들이 그것에 대해 모르겠다고 했지만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 일본과 정말 전방위적인 외교적 노력을 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의 안만 고집했던 것은 아니다”라며 “일본이 제시한 안도 똑같이 테이블에 올려놓고 허심탄회하게 논의하자는 우리의 의견을 지속해서 전달했다”고 덧붙였다.

김나래 기자 nar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