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장관 진영)는 우정사업본부, 충청남도, 전라남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국토정보공사와 ‘지역밀착형 주소기반 드론운영’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31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지역밀착형 주소기반 드론운영은 배송인프라가 농촌, 어촌, 산촌에 도로명주소 기반의 배달점 설치 등 드론배송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구호물품 등 공공서비스 수령 애로를 해소하고 생활용품 구입 및 우편배달에 장시간 소요되는 문제를 해결해 주민 삶의 질을 높이고 드론산업육성을 지원하는 계획이다.
주소기반 드론 배송 운영체계는 도로명주소체계를 활용함으로써 전국적으로 통일된 기준에 의해 체계적인 배달점 주소 부여가 가능하고 배달점의 위치 찾기가 쉬워질 전망이다.
행안부는 드론 기지를 구축하고 드론운영 통합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해 보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반경 10㎞ 이내에 하나의 배달 거점을 두고 10개 내외의 배달점이 설치되며, 배달 거점 3∼5개의 배달권역에 하나의 배달 기지가 설치된다.
배달 기지에는 드론운영 및 관제시스템 설치가 이뤄진다. 배송용 드론은 국토교통부에 등록된 기체로, 안전성‧편의성이 검증되고 기체와 물품 무게 포함 25㎏ 수준 드론이다.
우정사업본부는 우편배송서비스 운영, 충남과 전남은 주민들을 위한 드론배송의 선도적 운영,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드론 운영기술 지원, 한국국토정보공사는 드론 기지운영 전문 인력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날 협약식에서는 가시권 밖 두 개의 배달점을 돌아오는 드론 배송 시연이 있었다. 충남 당진 전력문화홍보관에서 출발한 드론은 난지도와 소난지도를 거쳐 다시 전력문화홍보관으로 돌아왔다. 이 구간을 선박으로 배송할 경우 2시간이 소요되지만 드론으로는 20분 만에 배송을 완료했다.
시연에 사용된 드론은 산업부의 배송실증사업용으로서 10∼60㎞/h 속도로 10㎏의 짐을 싣고 반경 10㎞를 왕복할 수 있는 기체이다.
윤종인 행안부 차관은 “물류인프라가 취약한 도서·오지도 소외받지 않는 더불어 사는 사회를 만들고, 공공수요에 기반한 드론산업 발전이 포용적 혁신국가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김재중 선임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