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오지에 우편배달 드론 기지 들어선다

입력 2019-07-31 13:44
<드론기지 10곳 구축 및 단계별 운영 방안> *운영성과에 따라 변동 가능 <자료: 행안부>

전국 섬·오지 우편 배송을 위한 드론 기지 10곳이 설립된다.

행정안전부는 우정사업본부, 충청남도, 전라남도 등과 함께 ‘지역밀착형 주소기반 드론운영’ 업무 협약(MOU)을 31일 체결했다. 우편배달에 오랜 시간이 걸리는 농·어·산촌 오지에 드론 배송 체계를 구축한다는 게 골자다.

행안부는 올해부터 4년 동안 전국 섬·오지에 10곳에 배송 드론의 관제탑 역할을 하는 드론 기지를 구축한다. 드론 기지 위치는 우편 배송 드론의 배달 목표지가 되는 ‘드론 배달점’ 수십 개의 위치를 고려해 결정된다. 아울러 행안부는 효율적인 드론 조종을 위한 ‘드론운영 통합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해 보급할 계획이다.

행안부 외에도 여러 정부기관이 드론 배송에 협력한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드론배달점 설치에 필요한 운항기술을 지원한다. 또한 드론권역 시험운영에 필요한 기술과 드론 기체, 드론 관제 시스템 등 인프라를 보급한다.

우정사업본부는 드론을 이용한 우편배송서비스를 운영한다. 통신체계와 보안 등 드론 운용 기술 관리에 집중한다. 충남과 전남은 드론배송체계 활용시장을 발굴한다. 아울러 지역별 드론운영 프로그램을 전국 지방자치단체와 공유한다.

한편, 이날 협약식에서는 드론이 사람 가시권 밖 두 개의 배달점을 찍고 오는 배송 시연이 진행됐다. 당진 전력문화홍보관(충남)에서 출발한 드론은 난지도와 소난지도를 거쳐 20분 만에 다시 전력문화홍보관으로 복귀했다. 이 구간은 배로 이 구간을 이동할 경우 2시간 가까이 걸리는 거리다. 여객선도 하루 4번밖에 다니지 않는다.

시연에는 산업통상부의 배송실증사업용 드론이 사용됐다. 이 드론은 10∼60㎞/h 속도로10㎏의 짐을 싣고 반경 10㎞를 왕복할 수 있다.
드론은 지난 2016년 세계경제포럼에서 국제적 관심사로 떠오른 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대표적인 성장산업으로 자리 잡았다. 미국과 중국 등 선진국들도 경쟁적으로 드론 제도를 정비하고 기반시설에 투자하고 있다. 한국은 상대적으로 후발주자다. 이 때문에 공공시장이 국산 드론 개발을 견인해야한다는 지적이 잇따랐다.

오주환 기자 joh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