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반도체산업협회 등 업계도 20여명 만나
23~25일(현지시간) 미국을 방문한 유명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의 행보가 분주하다. 주어진 사흘간의 일정 동안 윌버 로스 미국 상무장관을 비롯한 정부 인사와 하원 의원들을 만났다. 여기에 더해 미국반도체산업협회(SIA)를 비롯한 업계와도 교류를 나눴다.
쉴 틈 없는 대미 통상외교의 핵심 전략은 ‘미국의 경제적 불이익’ 설명이다. 일본이 한국을 겨냥해 핵심소재 3종(플루오린 폴리이미드, 포토 리지스트, 고순도 불화수소) 수출을 제한한 것이 미국 경제에 간접적 타격을 준다는 점에 집중했다. 일본 정부 압박에 나설 수 있는 인사들 중심으로 접촉한 치밀함이 어떤 결과를 가져올 지 주목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6일 유 본부장이 미국 현지에서 만난 정·재계 인사들을 공개했다. 출국 시점까지 전략상의 이유로 공개하지 않았던 명단이기도 하다.
통상 관련 인사들이 핵심 축에 위치했다. 윌버 로스 장관과 엘리엇 엥겔 하원 외교위원장, 마이클 맥컬 하원 외교위원회 간사 등의 정부 및 정치권 인사와 접촉했다. 마이클 맥컬 의원의 경우 삼성전자 미국 반도체 공장이 있는 지역 출신 의원이다. 반도체 분야가 타격을 받으면 미국 지역경제에 불이익이 미친다는 점을 설명하기 위해 접촉한 것으로 읽힌다.
재계와 미국 내 통상 전문가들과도 만났다. SIA와 전미제조업협회(NAM) 등 이번 제한 조치가 영향을 끼칠 법한 업계와 회동했다. 이외 미국 3대 ‘싱크탱크’ 중 하나인 헤리티지 재단 관계자들과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관계자들과도 만남을 이었다. 결과적으로 SIA를 비롯한 미국 6개 단체가 한·일 정부에 공동 서한을 보내는 결과물을 이끌어내기도 했따.
이번 방문은 단순한 외교적 노력만으로는 일본에 영향력이 큰 미국을 움직이기 힘들다는 인식에서 출발했다. 수출 제한 조치가 미국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 초점을 맞춘 부분이 이를 방증한다. 유 본부장은 “다음달 중국에서 열리는 역내 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RCEP) 장관회의를 포함해 향후에도 다자·양자 협의를 통해 일본 측 조치의 부당성에 국제적 공감대를 이끌어내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신준섭 기자 sman32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