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2명이 탄 러시아 어선 1척이 북한 당국에 의해 억류된 것으로 확인됐다. 두 사람의 신변은 안전한 것으로 파악됐다.
통일부 당국자는 24일 기자간담회를 갖고 “(억류된) 우리 국민은 안전한 것으로 파악된다”며 “(이들이) 북한 당국으로부터 관련 경위에 대한 조사를 받고 있다”고 밝혔다. 50~60대 남성인 두 사람은 어업감독관 자격으로 해당 어선에 승선했다가 억류된 것으로 확인됐다. 통일부 당국자는 “현재 두 사람은 호텔에서 머무르고 있으며 신변이 안전한 것으로 파악된다”고 설명했다.
통일부에 따르면 300t 규모 러시아 국적 홍게잡이 어선 시앙 하이 린(XIANG HAI LIN) 8호는 지난 16일 오후 7시쯤 속초항을 출발, 러시아 자루노비항으로 향하던 중 기간고장을 일으켰다. 이 어선은 다음 날인 17일 동해상 북한 수역에서 표류하다 북한 당국에 의해 단속됐다. 해당 어선은 자루비노항으로 이동, 조업할 계획이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통일부 당국자는 “(해당 어선이) 사전 통보 없이 북한 수역에 들어간 것이 (억류된) 주된 이유인 것 같다”고 말했다. 이 어선에는 한국인 2명을 비롯해 러시아 국적 선원 15명도 승선했으며 현재 원산항에 정박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지난 18일 억류 사실을 파악하고 당일과 19일 각각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와 대한적십자사 회장 명의의 대북 통지문을 통해 우리 국민의 귀환을 요청했다. 이 통지문에는 이들의 안전한 귀환과 어선을 단속한 경위를 설명해 달라는 요청 등이 담긴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현재까지 이와 관련한 북한의 답변은 없는 상태다. 정부는 북한 주재 러시아 대사관과 억류된 러시아 선박 회사 등을 통해 상황을 파악하고 있다. 통일부는 “대북협의 채널 및 러시아 당국과의 긴밀한 공조를 통해 우리국민의 안전을 확인하고 긍정적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북한은 다음 달로 예정된 한·미 연합 지휘소연습(CPX)을 이유로 한국 정부가 세계식량계획(WFP)을 통해 지원하려고 한 쌀 5만t에 대한 수령을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통일부 당국자는 “WFP가 북한과 실무협의를 하던 중 이 같은 입장을 알게 됐다”며 “WFP를 통해 북한의 공식 입장을 확인하고 있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미국과의 비핵화 실무협상을 앞두고 있는 북한이 CPX와 연계를 통해 한국과 미국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
한국인 2명 승선 러시아 선박 북에 억류…북, 송환요청 7일째 묵묵부답
입력 2019-07-24 1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