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울·경 동남권 수소경제권 새로운 성장 모델 만든다

입력 2019-07-24 10:28
경남도가 동남권(부산·울산·경남) 수소경제권을 구축해 새로운 성장 모델을 만든다.

경남도는 지난 18일 부·울·경 3개 시도 수소 관련 부서장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동남권 수소경제권 실무협의회’회의를 개최해 공동사업을 기획하고 발굴하기로 했다고 24일 밝혔다.

정부가 지난 1월 17일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발표한 후 수소산업을 선점하기 위한 지자체 간 경쟁이 심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인접 시도간 무한경쟁보다는 협업체계를 만들겠다는 것이다.

이날 회의에서 3개 시도는 시도별 전문가 워킹그룹을 구성해 공동사업을 발굴하기로 합의했다. 전문가 워킹그룹은 각 시도에서 시·도 내 대학 및 연구·유관기관의 전문가 3명과 시·도 외대학 및 중앙단위 연구·유관기관의 전문가 2명 등 5명씩 추천받아 총 15명으로 다음 달 발족할 예정이다.

전문가 워킹그룹은 동남권 수소산업의 미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비전과 전략을 구상하고 월 1~2회 정기 모임을 갖는다. 여기서 나온 구체적인 사업 기획안은 실무 협의를 거쳐 공동사업으로 정부에 제안할 계획이다.

실무협의회에서는 전문가 워킹그룹 구성 외 동남권 수소 공동사업 R&D사업 추진, 지역 수소관련 연구기반 공동 활용, 수소충전소 기자재 국산화 실증사업 추진, 공동 세미나·포럼 행사를 통한 수소경제권 홍보 등도 추진키로 했다.

동남권은 역사·지리적으로 뿌리가 같은 공동생활권이자 기계·금속, 자동차, 조선 등 밀접한 산업구조를 갖고 있어 협소한 이해관계를 벗어나 상생적 접근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민선 7기 들어 부·울·경은 광역교통, 환경문제 등을 공동 과제로 채택하는 등 협력을 강화하고 있어 이번 광역경제권 추진전략이 가속화 할 것으로 전망된다.

천성봉 도 산업혁신국장는 “부·울·경이 수소전기차, 수소충전소 구축을 비롯한 수소 전주기(생산, 저장, 운송, 활용) 산업을 에너지 전반으로 확대하면 석유로 대표되는 탄소경제에서 수소를 이용한 수소경제 체제로 전환을 앞당길 것”이라며 “상생협력을 통해 동남권 수소경제권이라는 새로운 성장모델을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창원=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