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23일 일본이 국내 투자금이나 대출금 회수에 나설 경우 예기치 못한 부정적 영향이 발생할 수 있다며 ‘금융보복’ 조치가 나오지 않도록 사전에 막을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국회에서 열린 기획재정위원회 업무보고에 참석해 일본의 금융보복 우려를 묻는 김두관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이처럼 답했다.
이 총재는 “외국자본 중 일본계 자금 비중이 약 2%를 차지해 숫자로 보면 일본계 금융기관의 여신이나 유가증권 투자 규모가 크지 않은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다만 이 총재는 “행여나 일본의 금융보복 조치가 이뤄지면 숫자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다른 예기치 못한 영향을 많을 것”이라며 “금융보복 조치가 나오지 않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했다.
일본이 실제 금융 관련 조치를 할 가능성에 대해서는 “불가능한 것은 아니겠지만 현재로선 가능성이 높지 않다고 본다”고 전망했다. 그는 이어 “저축은행과 대부업은 일본계 자금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며 “이용대상이 주로 취약계층인 만큼 혹시 어떤 일이 터진다면 이들에 대한 보호 노력을 정부도 놓지 않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에 따른 성장률 추가 햐항 조정 가능성에 대해서는 “일본 수출 규제는 이번 전망에 충분히 반영을 못했기 때문에 악화된다면 우리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이 있고 (전망치 하향조정)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한은은 지난 18일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연 2.5%에서 2.2%로 0.3%포인트 낮춰 잡았다.
그는 금리 추가인하 검토에 관한 나경원 자유한국당 의원 질문에는 “추가 인하 여부는 상황을 더 지켜봐야 할 것 같다. 한차례 금리인하의 효과와 미·중 무역분쟁, 일본과의 갈등 등 고려할 요인이 많아 지금 한발 나아가 말씀드리기 곤란한 상황”이라고 답변했다.
지호일 기자 blue5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