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수출규제로 인해 울산지역 기업피해은 아직 접수된 것은 없지만 수출규제의 확대와 장기화 때를 대비해 미리 대응 하겠다는 방침이다.
울산시는 이날 오전 시청 본관 7층 상황실에서 ‘일본 수출 규제 대응 울산지역 간담회’를 열어, 일본수출 규제 조치에 따른 지역기업의 영향과 대일 의존도가 높은 소재·부품 국산화 방안 등을 논의했다.
시는 경제부시장을 단장으로 하는 ‘일본 수출 규제 대응 비상대책반’을 구성, 기업 피해사항 등 정확한 실태파악에 나선다.
울산지방중소벤처기업청은 일본 수출규제 애로신고센터를 설치·운영하고 울산경제진흥원은 중소기업 일본 수출규제 관련 피해사례를 일본 수출 규제가 해지될 때까지 조사하기로 했다.
한국무역협회 울산지역본부는 한국 화이트리스트 제외에 대한 의견서를 국내 경제단체들과 공동으로 제출할 예정이다.
울산테크노파크는 국산화 우선 품목 선정과 과제화를 위해 산업부, 중기부와 협의 중이다.
한국화학연구원은 수출규제 3개 품목 외에도 향후 추가 규제 가능성이 있는 화학소재에 대해 제품 개요, 기술확보 전략 등을 분석해 산업부에 제출했다.
울산발전연구원은 대일본 무역현황을 조사·분석 및 일본 수출규제 리스트를 작성했다.
울산시 관계자는 “이번 간담회를 시발점으로 일본 의존도가 높은 핵심부품소재 개발에 대한 지역소재 연구기관에 행정적 재정적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