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구 금융위원장이 일본의 수출규제가 국내 금융업계에 미치는 영향을 “제한적”이라고 못 박았다. 정부와 금융권이 함께 테스크포스(TF)를 운영하고 있고, 혹시 모를 상황에 대비해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대응체계를 마련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최 위원장은 1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일본 수출규제 관련 금융분야 영향 브리핑을 열고 “일본 측이 금융분야에 보복 조치를 취하더라도 그 영향력은 거의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일본 말고도 외화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곳이 많다는 것을 이유로 들었다. 그는 “지금 상황은 신용도가 낮아서 자금 조달이 안되는 ‘경제 문제’와 다르다”며 “한국 거시경제의 건전성과 국내 금융기업들의 신용도가 모두 높아 해외자금 조달에 문제가 없다”고 평가했다.
또 국내에서 일본계 자금의 규모가 크지 않기 때문에 자금 유출이 돼도 크게 우려할만한 상황이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최 위원장은 “지난달 말 국내 주식시장에서 일본계 자금의 비중은 전체 외국인자금의 2%를 겨우 넘는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한국과 일본의 관계가 악화돼 산업계에 피해가 갈 경우 적극 지원한다는 방침도 공개했다. 최 위원장은 “수입원을 일본에서 다른 나라로 대체하려고 하는 기업에 필요한 설비자금을 지원할 것”이라며 “굳이 이번 일이 아니더라도 당연히 검토하고 있었던 지원 프로그램”이라고 덧붙였다.
최 위원장은 언론 보도에 신중을 기해달라고 당부했다. 2008년 금융위기 때 기획재정부에서 일하던 일화를 소개하면서 “외신들이 한국계 은행들이 ‘굶어 죽을 수도 있다’고 기사를 썼다. 자극적이고 객관적이지 않은 기사에 시장이 민감하게 반응했다”며 “최근 보도를 보면 그 때의 기억을 떠올리게 한다. 일부의 개인 견해를 금융권 전체인 듯 보도하면 시장에 불안감만 줄 뿐”이라고 말했다.
한편 최 위원장은 브리핑 말미에 “금융위원장 자리에서 내려온다”고 전했다. 정부 개각 논의가 있는데, 인사권자의 선택폭을 넓게 해주기 위해서 금융위원장 임기가 3년짜리 임에도 불구하고 최근 사의를 전달하게 됐다면서 “김상조 정책실장이 공정거래위원장으로 있을 때 공정위와 금융위 업무협조가 잘 됐던 것처럼 앞으로도 두 부처 수장이 서로 호흡을 잘 맞춰가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최지웅 기자 wo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