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하태경 바른미래당 의원은 12일 오후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일본이 이란 등 이른바 ‘친북’ 국가에 대량살상무기 물자를 밀수출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하 의원은 “일본 경시청이 발표한 ‘대량살상무기 관련 물자 등 부정 수출 사건 목록’을 입수해 분석한 결과 일본은 2017년 핵무기 개발에 이용될 수 있는 유도전기로를 이란 등에 밀수출해 적발됐다”고 말했다.
하 의원은 “유엔 대북제재가 시행된 2006년 10월 이후로 일본의 대량살상무기 물자 부정 수출 사건은 16건이고 이는 처벌을 받은 사례이기 때문에 경고나 교육 등 행정조치와는 구분되며 더 의미가 무겁다”고 했다.
그러면서 “2016년 일본 기업이 대량살상무기 개발 등에 전용될 가능성이 있는 진동시험장치 제어용 프로그램을 중국에 5년간 밀수출했으나 경제산업성의 경고 조치에 그친 사례도 발견했다”고 덧붙였다.
하 의원은 “일본 정치권이 ‘한국이 시리아, 이란 등 친북 국가에 대량살상무기 물자를 부정수출했다’는 산케이신문 보도를 근거로 한국의 안보 우방국 명단(화이트리스트) 배제를 운운하고 있지만, 오히려 일본이 이란·중국 등에 밀수출한 사실이 밝혀진 것”이라며 ”무역 제재 명분이 무색해졌다"고 강조했다.
하 의원은 전날 기자회견에서 일본이 과거 불화수소 등 전략물자를 북한에 밀수출한 사실을 일본 안전보장무역정보센터(CISTEC) 자료를 통해 확인했다고 주장했다.
하 의원이 소개한 CISTEC의 ‘부정수출사건개요’ 자료에 따르면 일본에서는 지난 1996년부터 2003년까지 30건 이상의 대북 밀수출 사건이 적발됐으며, 이 중 핵 개발이나 생화학무기 제조에 활용될 수 있는 전략물자도 포함됐다.
강주화 기자 rul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