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대환 바른미래당 혁신위원장의 급작스러운 사퇴에 따라 비당권파에서는 ‘검은 세력이 다른 방향 개입한 것 아니냐’ 등 질책이 쏟아졌다. 당권파는 “당 대표자 퇴진을 담은 지도체제 혁신안이 계파 논란을 부를 만하다”고 지적했다.
오신환 원내대표는 12일 최고의원회의에서 주 위원장의 사퇴에 “1차 혁신안 의결 직후 위원장이 사퇴 기자회견을 연 것은 혁신위가 스스로 내린 결정을 위원장이 불복하는 모양새다”며 “몹시 유감이다”고 밝혔다. 이어 “최고위가 배후에서 좌지우지한 것처럼 사실과 다른 말을 하면서 겨우 수습 국면에 들어선 당내 갈등을 부추기는 것이 안타깝다”며 “조속한 시일 내에 후임을 인선해서 혁신위가 정상적 활동을 이어가도록 할 것을 당 대표와 최고위에 제안한다”고 했다.
비당권파인 이준석 최고위원은 “주 위원장이 안건을 의결한 이후 하루가 지나서 사퇴한 건, 검은 세력이 다른 방향에서 개입한 거 아닌가”라며 “의결안은 적법한 절차로 가결됐기 때문에 당헌·당규에 따라 오늘 최고위에서 1차 안이 포함된 내용의 의결 통해서 공표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당의 젊은 정치인들이 본인 의견을 피력했을 때 밥상이 엎어지는 상황 나와서는 안 된다”며 “이번에도 혁신위가 바른미래당에서 가장 인정받는 40세 이하의 젊은 위원들로 구성했는데, 민주적인 절차로 표결에 따라서 의결하자마자 위원장 사퇴가 이뤄졌다는 것에 우려된다”고 했다.
당권파인 문병호 최고위원은 “혁신위가 지도체제 개편을 1호 의제로 선정한 것은 혁신위가 당권을 잡기 위한 계파 싸움에 빠져있다는 논란을 불러일으킬만 했다”며 “빨리 새 혁신위원장을 임명해 혁신위를 다시 정상가동해야 한다”고 말했다.
혁신위에서 지난 10일 의결한 지도체제 혁신안은 이날 최고위에서 논의되지 않았다. 손학규 대표는 회의를 마친 후 “아까 혁신위원 2명이 와서 회의에 참석하겠다고 했지만 지금 혁신위원장이 사퇴한 상태에서 혁신위 대표성이 없다”며 “보고서만 받고 회의를 마쳤다”고 했다.
김용현 기자 fa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