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그룹, 연구개발(R&D)본부 대규모 조직개편

입력 2019-07-09 17:00

현대자동차그룹이 급변하는 자동차 시장 환경에 민첩하게 대응하기 위해 연구개발(R&D) 본부 조직을 대폭 개편했다. 품질 성과를 바탕으로 시장 신뢰와 수익성을 높여 연구개발에 재투자하는 선순환 구조를 확립하겠다는 구상이다.

현대차그룹은 9일 프로젝트 매니지먼트(PM)·설계·전자·차량성능·파워트레인(PT) 등 5개 담당의 병렬 구조였던 연구개발본부의 조직체계를 ‘제품통합개발담당, 시스템부문(4개담당), PM담당’의 삼각형 구조로 단순화한다고 밝혔다. 차량 개발의 복잡성을 줄이고 미래 모빌리티 시장에 적극 대응하겠다는 취지다. 디자인담당과 상용담당은 연구개발본부 내 별도 조직으로 운영된다.

현대차그룹은 지난해부터 이 같은 차량개발 철학을 담은 ‘아키텍처 기반 시스템 조직(SBO)’ 체계 개편을 준비해왔다. 새로운 R&D 조직은 차량의 기본 골격을 의미하는 아키텍처를 중심으로 자동차 콘셉트를 선행 개발하는 ‘제품통합개발담당’과 자동차에 탑재되는 주요 개별 기술을 개발하는 ‘시스템부문’, 두 부문과 협업해 자동차를 최종 완성하는 ‘PM담당’ 등 3개 부문의 상호 유기적 협업을 기반으로 운영될 계획이다.

먼저 제품통합개발담당은 자동차 개발의 초기 단계에서 전체적 기본 구조를 잡아주고 최종 단계에서 다시 종합적인 차량의 성능 조율을 맡는다. 차량아키텍처개발센터와 차량성능개발센터로 구성되는데 아키텍처개발센터는 차량 개발의 밑그림을 그리는 역할, 성능개발센터는 차량 개발 최종 단계에서 통합적 차량 성능 향상으로 상품성을 극대화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시스템부문은 기본 콘셉트 안에 담기는 주요 핵심기술 개발을 담당한다. 기술적 토대인 새시, 바디, 전자, 파워트레인 등 4개 담당 체계다. 삼각형 조직 구조의 꼭짓점이자 제품 개발을 총괄하는 PM 담당은 각 시스템 부문에서 개발한 기술을 차급과 브랜드 별로 최적화해 차별화된 제품 개발을 책임진다.

연구개발본부 알버트 비어만 사장은 “이번 R&D 조직 구조 개편으로 자동차산업의 패러다임 변화와 고객 요구에 빠르고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될 것”이라며 “불확실성이 증대되고 있는 미래에 대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정건희 기자 moderat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