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 양을 실시간으로 감지해 자동압축하고 수거 시기 등을 알려주는 쓰레기통, 교통카드로 무료로 갈아탈 수 있는 대중교통 시스템, 침입자가 발생했을 때 자동으로 경보를 울리는 관제 플랫폼…. 신기술을 이용한 이런 한국의 도시 설계 모델 ‘스마트시티(Smart City)’가 새로운 수출 분야로 떠오르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대외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스마트시티의 해외진출 활성화 방안'을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했다고 8일 밝혔다. 스마트시티 사업에 5000억원을 투자하고, 한국이 주도하는 스마트시티 국제협력체계를 구축하고 국제엑스포 등을 추진한다는 것이 골자다. 스마트시티는 정보통신기술(ICT)·빅데이터 등을 이용한 첨단 도시로 수출이 유명한 분야다.
전 세계 스마트시티 시장 규모는 매년 평균 18.4%씩 성장해 2023년 6172억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추산된다. 실제 한국의 쓰레기통은 지난 1월 미국 볼티모어 등 42개국에 수출됐고 대중교통 시스템은 그리스 아테네 등에 수출됐다. 쿠웨이트에는 사업비 26조원 규모의 신도시 건설안을 수출했다. 정부는 해외 개발사업 지원을 조성한 1조5000억원 규모의 플랜트·건설·스마트시티(PIS) 펀드 중 5000억원을 이 스마트시티 해외 사업에 투자한다.
아세안 등 한국형 스마트시티에 관심이 많은 국가 중심으로 한국 주도의 국제협력체계 ‘코리아 스마트시티 오픈 네트워크(K-SCON ; Korea Smart City Open Network)’가 구축된다. 정부는 2020년 1차 공모를 통해 도시개발, 교통 등 프로젝트 주제와 참여 대상을 설정하고, 한국과 참여국의 비용 분담을 통해 사전 타당성 조사, 마스터플랜 수립, 본사업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정부는 오는 9월 ‘월드 스마트시티 엑스포(WSCE 2019)’를 열어 전시·콘퍼런스, 기업 설명회, 해외 바이어 행사 등을 통해 우리 기업의 해외 진출을 적극적으로 지원한다. 정부는 향후 이 엑스포를 세계 3대 스마트시티 국제 행사로 키울 방침이다. 또 관계 기관과 기업이 함께 해외 진출 유형별 맞춤형 지원 방안도 곧 수립할 방침이다.
2020년까지 스마트시티 관련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해 범부처 수주지원 통합정보시스템을 마련해 국가별 사업 환경, 프로젝트 발주 정보, 우리 정부와 국제기구 지원 정보 등을 제공한다. 코트라(KOTRA)는 30곳에 ‘스마트시티 수주지원 센터’를, 해외 인프라 도시개발지원공사(KIND)가 4곳에 해외인프라 협력센터를 설치해 현지 도시개발 사업을 지원한다.
강주화 기자 rul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