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극 아래 알래스카의 폭염으로 주민들이 고통받고 경제적 타격도 예상되는 등 후폭풍이 심상치 않다.
미 공영라디오 방송 NPR에 따르면 북아메리가 최북단인 미국 알래스카주 최대도시인 앵커리지의 낮 기온이 현지시간 4일 기준 화씨 90도(섭씨 32.2도)까지 치솟았다. 이는 알래스카에서 1952년 기상관측을 시작한 이래 역대 최고기온이다.
미 국립기상청(NWS)은 트위터를 통해 “오늘(4일) 오후 5시에 앵커리지 국제공항이 사상 처음으로 90도를 공식 기록했다”고 밝혔다.
종전 최고기온은 1969년 6월 14일에 기록된 화씨 85도(섭씨 29.4도). 50년만에 최고기온 기록이 경신됐다.
통상 7월 4일의 앵커리지 평균 최고기온이 화씨 65도(섭씨 18.3도). 이날 기록은 평년보다 화씨 기준으로 25도(섭씨 기준 13.9도)나 높았다.
지난달부터 앵커리지의 기온은 평년보다 높은 수치를 기록해왔다. 6월 평균 기온이 화씨 60.5도(섭씨 15.8도)임을 고려하면 평년보다 화씨로 5도 이상 높았던 셈. 앵커리지는 16개월 연속 평년 이상 기온을 기록하며 고온 현상이 이어지고 있다.
미 기상청은 앵커리지에 지난달 고작 0.06인치(1.52㎜)의 비가 내리는 데 그쳐 기록적인 가뭄이 나타나고 있다고 밝혔다.
고온 건조한 날씨가 이어지면서 알래스카주 곳곳에는 산불이 발생해 피해가 커지고 있다. 알래스카 남부에는 산불 연기로 인해 대기오염 경보까지 내려진 상황. 산불 경보에 따라 주 대부분의 지역에서 7월 4일 미 독립기념일 폭죽놀이도 금지됐다.
알래스카에서 펼쳐진 3㎞ 산악 마라톤에서도 폭염으로 인해 출전 선수들이 중도 포기하거나 기권하는 사례가 속출했다.
이번 고온 현상은 북극권에 가까운 주 상공을 덮고 있는 고기압에 의한 거대 ‘열돔’ 현상에 따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열돔이란 뜨거운 공기가 지면에 갇히는 상태를 말한다. 북극의 해빙 감소와 북극해 온난화 현상도 일정 부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앵커리지뿐 아니라 알래스카주의 다른 도시들도 폭염으로 몸살을 앓고있는 가운데 알래스카에는 여러 부작용이 속출하고 있다.
추위에 익숙한 알래스카 주민들이 이례적인 폭염에 고통을 호소하고 있고, 주민들의 생활은 물론 야생동물과 지역 경제에도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다.
AFP 통신에 따르면 알래스카의 약 85%를 덮고 있는 영구동토층이 녹으면서 건축물 토대와 야생동물 서식지가 불안정해지고, 툰드라 지역의 딸기류 채집이 어려워졌다.
거기다 알래스카 인들의 육상 교통 경로인 얼어붙은 강이 곳곳에서 녹는 바람에 자동차와 트럭을 이용한 이동에 위험이 따르고 있다. 개 썰매 경주대회가 취소되거나 경로를 변경하고, 게잡이도 위험해졌다고 통신은 전했다.
알래스카 기후평가정책센터의 기상 전문가 릭 소먼은 “1901년부터 2016년까지 미 본토의 평균 기온은 화씨로 1.8도 올랐는데 알래스카에서는 4.7도 올랐다”고 밝히며 알래스카의 온난화가 두 배 이상 빠르다고 지적했다. 알래스카 내륙에서는 과거 화씨 100도(섭씨 37.8도)를 기록한 적도 있다.
현재 남부 앵커리지 일대에 머무는 고기압이 수일 내로 내륙 쪽으로 북진이 예상되어 알래스카의 폭염은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jjinga@kmib.co.kr
알래스카도 32도 폭염…50년만에 최고기온 경신
입력 2019-07-06 1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