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인구절벽 도미노’가 작동하기 시작했다. ‘영남권→호남권→수도권→중부권’ 순서로 감소하게 된다. 저출산·고령화와 인구유출 등이 원인이다. 영남권에선 이미 2017년부터 전년 대비 인구가 줄어드는 ‘마이너스 성장’에 들어갔다. 특히 경북, 경남, 울산은 인구 정점을 찍고 감소세에 진입하는 시기가 2016~2018년으로 기존 예측보다 10년 이상 앞당겨졌다. 고령화로 영남권과 호남권은 오는 2047년엔 청년 1명이 1.2명을 부양해야 한다.
통계청이 27일 발표한 ‘장래인구특별추계 시·도편’에 따르면 전년 대비 인구 성장률(출생, 사망, 인구이동 반영)의 마이너스 성장은 2017년 영남권을 시작으로 올해 호남권, 2033년 수도권, 2038년 중부권까지 확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남권은 4대 권역 가운데 인구 감소의 속도가 가장 빠르다. 인구가 증가하다 감소로 돌아서는 시점인 ‘정점’은 부산(1995년), 대구(2011년), 울산(2016년), 경북(2016년), 경남(2018년) 등이다. 평균적으로 2017년을 기점으로 인구 증가세가 꺾이는 것이다.
울산과 경북, 경남은 인구 정점 시기가 기존 예측보다 빨라졌다. 통계청이 2년 전에 발표한 장래인구추계에선 인구 정점 시기가 각각 2029년, 2029년, 2030년이었다. 울산은 2029년에서 2016년으로 13년, 경북은 2029년에서 2016년으로 13년, 경남은 2030년에서 2018년으로 12년 당겨졌다.
호남권은 1970년대부터 인구 감소를 겪다가 2010년을 전후로 증가세로 전환됐지만, 올해 이후 다시 감소로 돌아서는 것으로 관측됐다. 인구 정점 시기는 광주는 2015년, 전북과 전남은 각각 2016년이다.
수도권 인구는 오는 2033년부터 전년 대비 감소에 돌입한다. 서울은 2009년부터 인구 감소가 시작됐고 경기도는 2036년, 인천은 2035년에 정점을 찍는다. 중부권은 가장 인구 감소 속도가 느리다. 2038년 인구 성장률이 마이너스로 바뀐다. 충북과 충남의 인구 정점 시기는 각각 2036년, 2039년이다. 다만 대전은 예외적으로 인구 감소 속도가 가파르다. 이미 2014년부터 인구 감소에 들어갔다. 통계청의 2년 전 예측에서는 인구 정점 시기가 2034년이었지만 무려 20년 앞당겨졌다.
영남권이 다른 지역에 비해 인구 감소 속도가 빠른 건 저출산과 인구 유출 때문으로 보인다. 사망자가 출생아 수 보다 많아지는 상황에서 다른 도시로 인구가 빠져나가는 것이다. 자동차와 조선업 등 지역경제를 지탱하는 주력 제조업의 침체로 영남권 인구 유출이 확대되고 있을 가능성도 있다.
영남권과 호남권에선 향후 부양비도 급격하게 나빠질 예정이다. 영남권은 2047년 생산 가능한 인구 100명이 부양해야 하는 유소년 및 고령 인구가 평균 107.7명에 이르게 된다. 경북은 114.0명, 경남은 101.4명이다. 청년 1인당 1.2명을 부양해야 하는 것이다. 호남권도 마찬가지다. 전남 120.6명, 전북 110.4명으로 청년 1인당 부양해야 할 인구는 1.2명이다.
인구 이동을 제외한 자연감소도 심화되면서 오는 2033년에 세종을 제외한 광역시·도에서 출생아 수보다 사망자 수가 많아질 것으로 추정된다. 2042년 이후엔 세종에서도 자연감소 현상이 시작된다. 통계청 관계자는 “저출산·고령화 영향으로 광역시·도의 인구 감소 시점이 빨라지고 있다”며 “복합적 원인으로 권역별 인구유출도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세종=전슬기 기자 sgj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