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대 7.’
경기 종료 휘슬이 울리자 전광판의 처참한 스코어가 확정됐다. 곧 관중석에서 울음이 터졌다. 중계방송 카메라는 승자의 환호보다 패자의 눈물을 비추기에 바빴다. 승자는 환호를 거두고 격려의 박수를 쳤다. 그 박수소리가 패자를 더 비참하게 만들었다. 월드컵을 5차례 정복한 최다 우승국. 펠레, 가린샤, 호나우두 같은 슈퍼스타를 수없이 배출한 축구의 나라. 모두 무의미한 타이틀이 됐다. 2014년 7월 8일 벨루오리존치 미네이랑 경기장에서 독일에 우승길을 열어주고 월드컵 4강에서 대패하고 탈락한 브라질 축구대표팀 얘기다.
브라질은 그 이후 세계 축구계에서 제왕적 지위를 상실했다. 여전히 웬만한 대회에서 우승후보로 거론되는 강자지만, 상대를 겁먹게 만들 정도의 위압감은 사라졌다. 그날, 패배보다 뼈아픈 것은 실점이었다. 화려한 공격력을 자랑하는 브라질도 허약한 수비로는 우승까지 질주할 수 없었다.
이제는 달라졌다. 5년 전부터 실패의 원인을 꾸준히 교정하며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포백 수비라인을 완성하고 있다. 그 결실을 2019 코파아메리카에서 거두고 있다. 다니엘 알베스, 티아고 실바, 마르키뇨스(이상 파리 생제르맹), 필리페 루이스(아틀레티코 마드리드)로 이어지는 브라질의 포백라인은 이번 대회 조별리그 3경기에서 공격진이 8골을 넣는 동안 단 한 골도 허용하지 않았다.
네 명 합계 130세. 평균 연령은 32.5세다. 25세인 마르키뇨스를 빼면 모두 30대 중반의 나이다. 노쇠했다는 조롱은 조별리그 3경기 만에 경의로 바뀌었다. 실바와 마르키뇨스가 가로막은 중앙은 그야말로 ‘철벽’으로 불려도 부족함이 없다. 185㎝를 밑도는 신장의 열세를 빠르고 정확한 판단력으로 만회하고 있다.
오른쪽 풀백 알베스는 적의 진격을 차단하면서 적극적인 오버래핑으로 상대 진영까지 흔들어놓는다. 페루를 5대 0으로 격파할 때 대승을 확정한 후반 8분 네 번째 골의 주인공은 알베스였다. 이들 세 수비수는 모두 프랑스 리그앙 파리 생제르맹에서 함께 호흡을 맞추는 트리오다. 여기에 왼쪽을 틀어막은 루이스도 빈틈을 드러내지 않는다.
브라질은 부동의 ‘에이스’ 네이마르 없이 이번 대회 우승을 노리고 있다. 코파아메리카 최다 우승국 우루과이, 리오넬 메시의 아르헨티나와 벌일 우승경쟁에서 브라질을 지탱하는 것은 든든한 포백라인이다. 브라질은 28일 오전 9시30분(한국시간) 포르투 알레그레 아레나 두 그레미우에서 파라과이를 상대로 8강전을 갖는다.
김철오 기자 kcopd@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