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울·경 단체장, 국토부장관, 김해신공항 총리실 검증 합의

입력 2019-06-20 18:06
국토부의 김해신공항 추진에 반대하면서 총리실 검증을 요구해온 부산·울산·경남지역 단체장의 주장이 받아들여지면서 국투부와 3개 단체장이 총리실 재검토 합의를 이뤄냈다.

20일 오후 국토부 서울사무소에서 오거돈 부산시장과 송철호 울산시장, 김경수 경남지사 등이 김현미 국토부 장관과 김경욱 국토부 2차관, 권용복 항공정책실장, 김용석 공항항행정책관을 면담했다.

이날 면담은 김해신공항 문제와 관련, 총리실의 검증을 요구하고 있는 부·울·경지역 단체장이 자체 검증단 검증결과 발표에도 신공항 강행 입장을 밝혀온 국토부와 처음으로 자리를 같이 한 것이다.

면담 후 부·울·경 3개 단체장과 국토부는 “동남권 관문공항으로 김해신공항의 적정성에 대해 총리실에서 논의키로 하고, 그 검토 결과에 따르며 그 검토 시기와 방법 등 세부사항은 총리실 주재로 부·울·경과 국토부가 함께 정하기로 한다”는 내용의 합의문을 발표했다.

합의에 앞서 김 장관은 “김해신공항 계획에 대해 부·울·경이 제시한 다양한 의견을 충분히 살펴보고 합리적인 의견을 반영 하겠다”며 “만약 이 문제를 총리실이 논의하게 된다면 국토부도 조속한 시일 내에 합리적 결론을 내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부·울·경 단체장은 김해공항을 확장하는 김해신공항이 소음, 안전문제와 경제성, 확장성 부족으로 관문공항 역할을 하지 못한다며 제대로 된 관문공항을 건설해야 한다고 주장 했다.

또 이들 단체장은 지난해 말부터 6개월에 걸쳐 실시한 부·울·경 공동검증단 검증결과를 토대로 김해신공항 문제점을 거듭 설명하고, 김해 신공항 추진여부 결정을 총리실로 이관해 줄 것을 요청했다.

국토부측은 김해신공항 강행 의사를 굽히지 않았으나 총리실 이관에는 합의를 하면서 신공항 건설 사업을 총리실이 재검증하는 정책판정위원회의 규모와 성격, 범위, 전문가 구성 등을 두고 논란이 예상된다.

이에 앞서 국토부는 김해공항을 확장하는 것에 불과한 김해신공항은 소음·안전·확장성·경제성 등 모든 분야에서 관문공항 역할을 할 수 없다는 결론을 내린 검증 결과에 반박해 김해신공항 건설을 강행하겠다는 공문을 보내 갈등이 증폭됐었다.

부산시 관계자는 “국토부가 김해신공항 추진 계획 강행 입장에 변화가 있을 수 없지만 검증을 총리실로 이관하는 문제에 대해 합의하면서 총리실이 검증한다면 김해신공항안은 무산될 것으로 기대 한다”고 말했다.

한편, 부·울·경은 올해 초부터 김해신공항 건설을 백지화하고, 동남권 관문공항 추진을 위해 공고한 연대를 구축하고, 정부와 총리실, 청와대에 김해신공항 건설 사업의 문제점을 계속해서 알려왔다.

창원=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