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욱 바른미래당 의원이 문재인 대통령의 현충일 김원봉 언급에 대해 “김원봉 독립유공자 서훈 수여를 위해 고도로 기획된 2차 작전”이라고 비판했다. 현 정부가 김원봉 서훈을 매개로 대한민국 주류세력 교체를 시도하고 있다는 것이 지 의원의 진단이다.
지 의원은 9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김원봉 건국훈장 서훈은 국가정체성 재정립 완성의 화룡점정’이라는 제목의 글을 올렸다. 지 의원은 김원봉 서훈 문제를 지속적으로 제기해 오고 있다.
그는 “문 대통령의 제64회 현충일 추념사로 온 나라가 두 쪽으로 나뉘어 시끄럽다”며 “그런데 현충원이라는 ‘장소의 부적절성’에만 집중하면 김원봉의 대한민국에 대한 반역행위 자체는 가려지게 된다”고 지적했다.
‘6·25 동족상잔의 비극으로 희생된 호국영령 앞에서 어떻게 김원봉 얘기를 하나’ 식의 공방은 본질을 비켜 간 것이라는 주장이다. 지 의원은 “문 대통령과 청와대가 이를 모르고 현충원에서 부적절한 추념사로 보·혁간 논란을 일으켰을 리 만무하다”며 “8·15 광복절 기념사였다면 아무 문제가 없다는 것인가”라고 문제 제기했다.
지 의원은 문 대통령의 추념사를 “고도로 기획된 김원봉 독립유공사 서훈 수여를 위한 제2차 작전의 시작”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문 대통령은 취임 후 처음 김원봉의 공을 언급함으로써 공식적으로 김원봉에게 서훈을 주라고 지시한 셈이 됐다”며 “인정하든 부인하든 1차 작전이었던 지난 3·1절 100주년 기념식에서의 서훈 수여가 실패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지 의원은 문 대통령이 올해 3·1 기념사에서는 ‘친일파와 빨갱이’ 프레임으로, 지난 5·18 기념식에서는 ‘독재자의 후예’로, 현충일 때는 ‘기득권층’으로 보수 진영을 낙인 찍으려 한다고 비판했다. 이를 ‘대한민국 주류세력 교체’를 위한 수단으로 삼고자 한다는 것이다.
그는 지난 4월 2일 독립기념관에서 비공개로 개최하려고 했던 ‘김원봉 토론회’에서 아주대 이헌한 교수가 발제한 ‘전환기의 보훈정책: 국가정체성의 재정립을 위한 시론’ 내용을 그 근거로 들었다. 당시 이 교수는 “남한 정부에서라도 과감하게 월북 독립운동가들에게 상훈 보훈을 개방하면 통일 대한민국에 큰 도움이 된다”고 발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두고 지 의원은 “주류세력 교체와 국가정체성 재정립 작업이 ‘보훈 정책’을 통해 시도되고 있는 것”이라며 “여권은 온갖 미디어를 총동원한 대국민 여론몰이로 ‘중도세력 확보를 위한 총선 전쟁을 김원봉을 매개로 일으키려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그렇지 않아도 정치, 경제, 외교, 안보적으로 어려운 시기에 김원봉 서훈 논란으로 대한민국조차 두 동강 난다면 나라는 거덜나는 것”이라며 “남북이 통일을 이룬 후 서로 화해하고 과거를 용서하고 치유되는 그 때 국민적 합의를 통해 항일투쟁의 공적을 위한 서훈을 그 분에게 드리자. 현재의 상훈인 대한민국 ‘건국훈장’이란 이름 말고 다른 이름으로”라며 글을 맺었다.
지호일 기자 blue5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