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월 전투기동 임무를 수행하던 중 발생한 공군 KF-16D 전투기 추락사고 원인은 ‘엔진 정지(Flame Out)’라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공군은 29일 “항공기 엔진 연소실로의 연료 공급이 중단됨에 따른 엔진 정지로 인해 사고가 발생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어 “향후 사고방지 및 안전대책을 적극 추진해 유사한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KF-16D 1대는 지난 2월 27일 군산기지에서 이륙한 뒤 서해상에서 임무를 수행하다가 이륙한 지 13분 만에 추락했다. 이 전투기에 탑승했던 조종사 2명은 비상탈출을 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KF-16D는 이륙 후 정상적으로 상승해 훈련 공역에 진입했다. 임무 시작 전 ‘선회 기동’을 준비하던 중 엔진이 정지됐다. 당시 고도는 4.5㎞, 속도는 396kts였다. 조종사들은 엔진을 되살리려고 공중재시동을 두 차례 시도했지만 실패, 비상탈출을 결심했다. 고도 1.2㎞ 상공에서 비상탈출한 후 해상에 떨어진 뒤 민간어선에 의해 구조됐다.
사고조사단은 연료공급 중단을 일으킨 원인으로 세 가지 가능성을 거론했다. ‘연료펌프로 유입되는 연료도관 막힘 및 공기유입’ ‘연료펌프 내부의 막힘’ ‘엔진연료 조절장치로 유입되는 연료도관의 막힘’이었다. 공군은 “연료공급 중단의 보다 구체적인 원인에 대해선 미 공군과 제작사의 지원 하에 다양한 지상실험과 시뮬레이션 등 방법으로 규명 작업을 지속해 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공군은 모든 KF-16 연료계통에 대한 정밀 특별 점검과 핵심부품인 필터(Internal Filter) 교체를 진행 중이다. 정밀 점검을 마친 KF-16 전투기를 오는 31일부터 단계적으로 비행임무에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군 관계자는 “이번 사고 요인은 사전 점검을 통해 예방이 가능한 부분이므로 비행을 재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공군은 사고발생 직후 비행사고대책본부를 설치했다. 비행, 정비, 항공관제 분야 등 전문 요원 13명으로 사고조사단을 꾸려 조사를 진행했다. 또 항공기 제작사 록히드마틴(Lockheed Martin)과 엔진 제작사 프랫 앤 휘트니(Pratt & Whitney) 소속 전문요원 3명도 현장조사에 참여시켰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