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4당이 주도하는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에 찬성과 반대 의견이 팽팽히 맞서는 것으로 나타난 여론조사가 24일 공개됐다. 국회의원 총수를 확대하는 방안에는 반대 의견이 72%로 압도적이었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한국갤럽이 지난 21일부터 23일까지 전국 성인 1001명을 대상으로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에 대해 물은 결과, ‘좋다’는 응답이 37%, ‘좋지 않다’는 응답이 33%였다. 의견을 유보한 응답자는 29%였다.
같은 기관이 6개월 전인 지난해 11월 실시한 조사 때는 ‘좋다’ 의견이 42%로 ‘좋지 않다’ 29%에 비해 우세했던 것과 비교할 때 부정적 인식이 높아진 결과로 볼 수 있다.
갤럽은 “최근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포함한 다수 법안 상정 과정에서 발생한 극한 대치, 물리적 충돌, 국회 파행 장기화 등으로 유권자에게 적절한 정보 전달, 숙고의 기회가 제대로 주어지지 않은 탓”이라고 분석했다.
연동형 비례대표제는 국회의원 선거에서 정당 득표율대로 의석수를 배분하기 위한 제도로, 더불어민주당·바른미래당·민주평화당·정의당은 지난달 이 내용이 담긴 선거법 개정안을 패스트트랙(신속 처리 안건)으로 지정한 바 있다.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이 좋다는 의견은 연령별로는 30대(53%)와 40대(46%), 지지 정당별로는 민주당 지지층(57%)과 정의당 지지층(78%), 정치 성향별로는 진보층(65%)에서 상대적으로 많았다.
반면 자유한국당 지지층은 69%가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에 부정적이었고, 연령별로는 50대(47%)와 60대 이상(42%), 성향별로는 보수층(61%)에서 부정적인 인식이 강하게 나타났다.
전체 의석을 현행 300석으로 유지하되 지역구 의석은 줄이고 비례대표 의석을 현재보다 28석 늘리는 방안에 대해서는 반대가 47%, 찬성이 35%, 의견 유보는 19%로 부정적 여론이 높았다.
또 지역구 의석은 현행을 유지하되 비례대표 의석을 늘려 국회의원 전체 의석수를 300석보다 확대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반대가 72%, 찬성이 17%로 부정적 여론이 압도적이었다. 11%는 의견을 유보했다.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에 호의적인 응답자들도 의석수 확대에는 65%가 반대했다. 갤럽은 “현재 여야 4당 일각에서 이러한 주장이 나오고 있으나 유권자를 설득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고 전망했다.
자유한국당이 주장하고 있는 ‘비례제 폐지·지역구 270석’ 방안에는 찬성이 60%, 반대가 25%, 의견 유보가 15%였다.
갤럽은 “세 가지 안에 대한 찬반 의견은 의원 정수 확대에 대한 거부감, 비례대표보다 지역구 의원 선호 경향에서 비롯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우리 국민은 연동형 비례대표제의 기본 취지에 공감하더라도 국회의원에 대한 큰 불신과 반감 때문에 비례대표 의석수나 의석 총수 확대는 쉽게 받아들이지 못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21일에서 23일까지 사흘간 전화조사원 인터뷰 형식으로 진행했으며 표본오차는 ±3.1%포인트(95% 신뢰수준)에 응답률은 15%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김성훈 기자 hun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