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안전위원회는 19일 오전 11시16분쯤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4㎞ 해역에서 규모 4.3의 지진이 발생했지만 원자력발전소와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 연구용 원자로의 안전에 미친 영향이 없는 것으로 확인했다고 밝혔다.
원안위는 지진 직후 현장 안전 점검에 나섰고 원자력시설의 안전변수에 특이사항을 나타내거나 출력감발·수동정지한 원전은 없는 것으로 봤다.
진앙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한울원전은 지진계측값이 지진경보 설정치(0.01g) 미만으로 경보가 발생하지 않았다. 한울원전은 지진이 발생한 곳에서 약 88.4㎞ 떨어진 곳에 있다. 또 다른 원전에서도 지진경보 설정치 미만으로 계측됐다.
원안위 관계자는 “여진 발생에 대비해 한국수력원자력 등 원자력 사업자의 안전 점검 수행 여부 및 결과를 점검하는 등 안전성을 지속적으로 확인할 것”이라고 했다.
원안위의 발표에도 동해에서 지속적으로 지진이 발생하고 있는 만큼 원전 건설보다 최대 지진 평가를 제대로 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환경운동연합은 “이번 지진은 한반도가 울진, 동해 등 강원도까지 지진 위험에 노출돼 있음을 확인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이 지역은 올해만 해도 지난 1월 1일 규모 3.1(영덕 동북동 해역)의 지진이 발생했다. 또 같은 달 10일과 31일에도 규모 2.5(경주 남남서쪽), 2.2(영덕 동북동 해역)의 지진이 있었다.
2월 10일엔 포항 동북동 해역에서 규모 4.1, 2.5 지진이 잇따라 발생했다.
환경운동연합은 “지진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한반도 동남부 울진, 경주, 울산, 부산 등에서 18기 원전이 운영되고 있고 4기 신규 원전도 건설 중이라는 게 더 큰 문제”라며 “지진 위험 지대에 원전이 밀집해서 운영 중이지만 아직 활성단층에 대한 평가가 제대로 진행되지 않았고 해양활성단층은 조사조차도 미비하다”고 강조했다.
서윤경 기자 y27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