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과 바른미래당 등 야당은 28일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의 ‘부동산 올인 투자’에 각종 의혹을 제기하며 공세에 나섰다. 김 대변인은 정부의 부동산 안정 대책이 한창이던 지난해 7월 11억원의 빚을 지고 서울 흑석동의 2층 건물을 25억원에 매입했다.
이만희 한국당 원내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기자 시절 칼럼에서 ‘전셋값 대느라 헉헉거리는데 누구는 아파트값이 몇 배로 뛰며 돈방석에 앉았다’고 비꼬며 서민을 배려하는 척했던 김의겸 대변인의 이율배반적인 모습은 언론인과 공직자 윤리를 모두 저버린 파렴치한 수준”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현 정권이 총 11개의 부동산 대책을 쏟아내며 다주택자에게 집을 팔라고 하고 재개발 지역의 투기 과열도 잡겠다고 했는데, 정작 정부 주요 정책을 설명하고 대통령의 의중을 전달하던 청와대 대변인은 뒤에서 서민은 꿈도 못 꿀 재개발 투기에 열을 올리고 있었던 것”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겉 다르고 속 다른 부동산 정책에 정부를 믿었던 국민들은 분노를 넘어 허탈함을 느낀다”며 “해당 인물들은 즉시 공직에서 물러나야 하고, 이런 사태를 초래한 문재인 대통령은 직접 국민 앞에 사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나경원 원내대표도 비판의 목소리를 보탰다. 나 대표는 이날 본회의 직전 열린 의원총회에서 “국토투기부 장관 후보자에 이어서 그에 걸맞은 투기 대변인이 나타났다”며 “김 대변인의 부동산 매입과 관련해서 어떻게 이렇게 많은 대출을 받았는지 등 많은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바른미래당도 김 대변인의 건물 매입을 ‘투기’로 규정하고 비판 대열에 합류했다.
김정화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김 대변인의 건물 매입 이후 해당 지역의 재개발 사업시행 인가가 나왔다. ‘믿을 만한 고급정보’를 미리 입수하지 않고 저런 투기가 가능하냐”고 의혹을 제기했다.
김 대변인은 “집은 사는 곳(buy)이 아니라 사는 곳(live)이라고 한 정부 아닌가”라며 “국민 배신이 일상화된 정부와 ‘위선 덩어리’ 청와대”라고 일갈했다.
심우삼 기자 s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