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협상 중단과 핵미사일 시험 재개를 경고한 뒤 미국이 북한과의 비핵화 협상을 계속하길 바란다는 의사를 밝혔다.
로이터통신은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이 15일(현지시간) 국방부 청사인 펜타곤을 직접 방문해 국가안보회의(NSC)를 소집했다고 전했다. 로이터에 따르면 폼페이오 국무장관은 회의에 앞서가진 기자회견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핵이나 미사일 실험을 다시 하지 않을 것이라는 약속'에 부응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폼페이오 장관은 “우리는 앞으로 계속 대화하고 협상하기를 바란다”며 “이 문제에 대해 계속 대화를 하고자 하는 것이 이 행정부의 바람”이라고 했다.
로이터는 지난달 하노이에서 열린 2차 북미 정상회담이 결렬로 끝난 뒤에도 미 관리들은 양측 대화가 계속되고 있다고 말해왔다고 설명했다.
앞서 최선희 북한 외무성 부상은 한국시간으로 15일 오전 평양에서 진행한 기자회견에서 “미국은 2차 북미정상회담에서 절호의 기회를 날렸다”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앞으로의 비핵화 협상을 지속할지 여부를 곧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 부상은 정상회담에서 북미 두 정상이 합의에 이르지 못한 것에 크게 실망했다며 그 책임을 미국에 돌렸다. 하지만 그러면서도 1시간가량 이어진 회견에서 북한의 미사일 발사 재개 움직임 같은 민감한 사안에 대해서는 말을 돌렸다. 외신의 질문도 받지 않았다.
폼페이오 장관은 최 부상이 존 볼턴 국가안보보좌관과 자신이 “적대감과 불신의 분위기를 조성했다”며 하노이 회담 무산의 책임을 돌린 것에 대해서도 답했다. 그는 “그건 틀렸다. 나는 거기에 있었고 김영철과 관계는 프로페셔널했고 상세한 대화를 나눴다”며 “그와 계속 대화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이어 “최선희의 발언을 봤는데 그녀는 협상을 계속할 가능성을 열어놨다”면서 “김 위원장은 하노이에서 여러 차례 트럼프 대통령에게 직접 핵실험과 미사일 시험을 재개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고 우리는 그가 약속을 지킬 것이란 모든 기대를 갖고 있다”고도 했다.
서윤경 기자 y27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