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 안락사 의혹을 받고 있는 동물권단체 ‘케어’의 박소연 대표가 14일 오전 피의자 신분으로 서울 종로경찰서에 출석했다. 박 대표는 동물 학대, 횡령, 사기 등의 혐의를 받고 있다. 논란이 불거진 뒤 처음으로 경찰 조사를 받게 됐다.
박 대표는 2015년부터 지난해 9월까지 구조 동물 230여 마리를 무분별하게 안락사하고 단체 회원들에게 이 사실을 숨긴 채 모금 활동을 벌인 혐의를 받고 있다. 이에 대해 지난 1월에는 기자회견을 열어 동물들의 안락사가 “인도적 안락사였다”고 주장했다. 동물의 생명권을 자의적으로 결정한 동물권보호 단체의 조치는 사회적 현안이 됐고, 곧 논란으로 이어졌다.
박 대표는 후원금을 사적인 용도로 쓴 혐의도 있다. 동물보호단체 비글구조네트워크의 유영재 대표는 지난 1월 “케어의 전신인 동물사랑실천협회 회계자료에서 일부 뭉칫돈이 박 대표의 가족 개인 명의로 몇 차례 출금된 기록과 그가 협회 돈을 개인 변호사 비용으로 쓴 정황을 추가로 확인했다”고 주장했다.
또 미국 케어 현지법인에 대한 의혹도 제기하며 “미국 케어 법인은 지난 3년간 미국 국세청(IRS)에 실적 신고를 한 번도 하지 않았다. 미국 케어도 홈페이지, SNS를 통해 왕성하게 모금활동을 했는데 왜 신고를 안 했는지 밝혀야 한다”고 말했다.
후원금 사용에 대해서는 전면 부인했다. 박 대표는 14일 오전 경찰에 출석해 “후원금을 개인적인 용도로 사용한 적은 맹세코 없다”고 언급했다. 또 안락사 혐의에 대해서는 지난 1월과 비슷한 대답으로 일관했다. 박 대표는 “일부 동물에 대한 안락사는 불가피했다. 병들고 양육이 어려운 동물을 고통 없이 인도적으로 안락사시켰다”며 “케어는 가장 힘든 동물을 대한민국에서 가장 적극적으로 구조해오던 시민단체다. 성실히 조사에 임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박 대표는 지난 1월 비글구조네트워크 등 동물권단체들에게 사기, 횡령, 동물보호법 위반 혐의로 고발을 당했다. 자유대한호국단 등 보수 시민단체들과 동물보호 활동가이자 동물보호명예감시원연합 박희태 사무총장도 박 대표가 동물보호법을 위반했다며 고소고발했다.
경찰은 같은 달 서울 종로구 케어 사무실과 지방의 케어 위탁 유기동물 보호 등 9곳을 압수수색했다. 지난 2월 박 대표의 주거지를 압수수색해 휴대전화 노트북을 확보했다. 조사과정에서는 2016년 1월부터 지난해 12월까지 케어 후원금 3700여만원을 박 대표 개인 명의의 종신보험 보험료로 납부한 정황이 드러나기도 했다.
박 대표의 경찰 조사 출석 소식에 일부 지지 단체에서는 14일 오전 집회를 열었다. 강남서초송파캣맘협회, 개도살금지연대, 동물활동가모임, 동물권단체MOVE 등은 “박 대표는 유기견이 아닌 극한의 상황 속에 놓인 개 농장, 개 도살장의 개들을 구조했다. 그 참혹한 현실을 직접 눈으로 보고 고민해보지 않은 사람들에게 안락사를 납득시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며 박 대표를 두둔했다. 이어 “대다수 동물활동가들은 구조된 동물 중 아픈 개, 전염병이 있는 개, 사나운 개 등의 안락사는 필요악이라는 사실을 인정한다”며 “일부 불가피한 안락사를 받아들이더라도 절대다수의 개를 구조하는 케어의 행위가 비난의 대상이 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강태현 인턴기자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