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운영에 어려움을 겪는 충남지역 자동차 부품기업들을 대상으로 운영 자금 및 마케팅·컨설팅 등이 지원된다.
양승조 충남도지사는 30일 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자동차 부품산업 위축에 따른 대책을 발표했다.
이번 대책은 2009년(351만대) 이후 지난해 국내 자동차 생산량이 최소(402만대)로 떨어지며 위기감이 고조됨에 따라 마련했다.
현재 자동차 산업 침체로 도내 자동차 부품산업이 영향을 받자 각종 분야에서 다양한 징후가 나타나는 상황이다.
실제 도내 고용보험 피보험자 수는 2017년 47만2815명에서 지난해 49만15명으로 1만7200명(3.6%) 증가한 반면, 자동차 부품업체 고용보험 피보험자 수는 3만5145명에서 3만4377명으로 768명(2.2%) 감소했다.
또 도내 제조업 실업급여 신청자 수는 2017년 5816명에서 지난해 7469명으로 1653명(28.4%)이 늘었지만, 자동차 부품업체 실업급여 신청자 수는 602명에 846명으로 244명(40.5%) 증가했다.
전력 판매량 역시 2017년 501억 8021만㎾h에서 3.7%가 증가해 지난해 520억 1270만㎾h로 늘었다. 그러나 자동차 제조용의 경우 2017년 25억2666만㎾h에서 지난해 22억8103만㎾h로 9.7% 급감했다.
양 지사는 “도가 구축한 조기경보시스템에 따라 자동차 부품산업의 조기경보지수를 분석한 결과, 13개월 연속 ‘경고’와 ‘심각’ 수준을 반복하고 있다”며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도는 단기 대책으로 경영에 어려움을 겪는 기업들을 대상으로 자금을 지원키로 했다.
우선 추경예산 편성시기를 3월로 앞당겨 유동화증권 보증 지원금과 신용보험 보증 지원금을 긴급 출연해 1조2000억 원 규모의 자금을 지원할 계획이다.
담보가 부족한 자동차 부품업체의 경우 무담보 신용보증서 발급 등 유동성 위기자금 100억원을 지원하고, 기술혁신자금을 600억원 규모로 지원한다.
또 중소기업 육성자금과 연계해 창업(업종 전환), 경영안정, 기업회생자금 등 3780억원을 지원하고, 성장 가능성 있는 기업에 대한 벤처투자조합(펀드) 연계 투자로 76억원을 지원한다.
도는 이와 함께 해외 판로 개척 및 수출 마케팅, 컨설팅 등도 중점 지원한다.
도는 자동차 부품 해외 바이어 15개사를 초청해 1대 1 수출 상담을 지원하는 한편 자동차산업 전문 국제전시회 단체 참가, 자동차 부품 기업 해외 전시박람회 부스 확대와 통역비 지원 등의 조치를 마련한다.
근로자 고용 안정과 실직자 재취업 등을 위해서 고용노동부와 함께 13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인력양성 및 고용서비스 등을 지원하고, 충남산학융합원 등을 통해 90개 직업훈련 과정 운영해 재직자 및 퇴직자를 대상으로 재취업과 이직・전직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 자동차부품 생산업체 퇴직자를 대상으로 로봇·드론 등 미래산업 기술 교육을 실시, 전문가로 양성해 취・창업을 유도하고 퇴직 근로자의 직종・근무경력・기술 등을 고려해 유사업종 일자리 매칭 서비스 등을 제공할 예정이다.
중장기 대책으로는 ICT 제조공정 혁신 고도화 지원 28억원, 자동차 융합 부품 세계화 지원센터 구축·운영 50억원, 미래차 핵심 융합 기술 개발 9개 사업 등을 추진한다.
재원 중 24억 원은 1회 추경을 통해 확보한다.
이 밖에 도는 부품산업 위축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 자영업자와 소상공인 등을 위해 전통시장 시설 현대화 및 경영 혁신 지원 62억원, 소상공인지원센터 및 보부상콜센터 운영, 점포 환경 개선 및 온라인 마케팅 4억원 등을 지원한다. 사회안전망 구축을 위해서는 노란우산공제 가입 지원 3억원 소상공인 사회보험료 300억원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양 지사는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정한 산업위기특별대응지역 지정 기준과 위기지역 지정에 따른 장단점을 분석해 시장·군수, 산업계, 도민 의견을 들어 위기지역 지정 신청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며 “위기지역으로 지정될 경우 도지사를 본부장으로 대책본부를 꾸리고 분야별 대책반을 가동하겠다”고 말했다.
홍성=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