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고위관계자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연내 서울 답방’과 관련해 “김 위원장의 그간 언행을 보면 자기가 얘기한 것은 꼭 약속을 지키더라”고 말했다. 김 위원장의 답방이 협의 과정에 따라 연내 성사되지 않을 수도 있지만, ‘답방’ 자체에 대해서는 의문의 여지가 없다는 점을 분명히 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 고위관계자는 지난달 30일(현지시간) G20 정상회의가 열린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기자들과 만나 ‘연내 답방’ 관련 질문을 받고 “잘 됐으면 좋겠는데 우리 뜻대로 되는 건 아니다”라고 운을 뗐다.
하지만 “한 가지 다행스러운 것은 지금까지 김 위원장을 1년 남짓 봤는데 김 위원장은 자기가 얘기한 것은 꼭 약속을 지키더라. 지금까지 자기 차원에서 말한 것들을 안 지킨 것은 없는 것 같다”고도 말했다. 김 위원장이 지난 9월 평양 남북정상회담 당시 약속한 ‘서울 답방’을 취소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얘기다.
다만 김정은 답방 시점은 유동적임을 시사했다.
이 고위관계자는 “연내 서울 답방도 그런 차원에서 이해하고 있다. 시간이 지연되더라도 김 위원장이 한 말이 있기 때문에 꼭 연내가 아니라도 상관없다”며 “문재인 대통령도 초조하게 서둘러서 하는 분이 아니다. 연내에 반드시 와야겠다는 것은 아니고 순리대로 한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위원장의 ‘연내 서울 답방’ 성사는 교착상태에 빠진 북·미 비핵화 협상의 돌파구로 주목받고 있다. 서울 답방이 성사되면 지난 6월 1차 북·미정상회담 당시와 유사하게 남북정상회담→한·미정상회담→북·미정상회담으로 이어지는 정상 간 비핵화 담판이 시작될 수 있다.
오는 17일이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사망 7주기인 점 등을 감안할 때 답방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분석도 있지만 북한 최고지도자인 김 위원장이 연내 답방이라는 결단을 내린다면 가능하다는 반론도 있다.
특히 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부에노스아이레스 코스타 살게로 센터에서 한·미정상회담을 갖고 김 위원장의 답방이 한반도 평화구축에 모멘텀이 될 것이라는 데 공감하면서 청와대 측의 답방 준비에 속도가 붙을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트럼프 대통령은 G20 정상회담을 마치고 미국으로 돌아가는 대통령 전용기 안에서 기자들과 만나 “2차 북·미정상회담이 내년 1월 또는 2월에 열릴 것”이라며 “장소는 3곳이 검토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를 감안할 때 김 위원장의 답방이 늦어도 내년 1월초까지는 성사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한·미(정상)간은 말할 것도 없고 북·미(정상)간도 마찬가지다. 한 번 만났지만 서로 괜찮다는 것을 느끼는 것 같다”며 “톱다운(Top-down·정상회담에서 시작해 하부 회담으로 이어지는 것) 방식이라는 게 정말 좋은 것 같다. 과거 방식과는 다르게 문제가 해결되는 과정”이라고 말했다.
백상진 기자 shark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