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국가안보실을 사칭한 가짜 이메일이 외교전문가들에게 발송된 가운데 윤건영 국정상황실장 사칭 이메일에 이어, 문정인 통일외교안보특보 사례도 뒤늦게 알려졌다.
채널A의 29일 보도에 따르면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소속 여당 의원실 관계자는 지난 5월 문 특보 계정 주소로 된 이메일 한 통을 받았다. 이메일 발송자는 “남북 정상회담 평가 보고서를 검토해달라”며 파일을 첨부했다.
관계자는 이상한 낌새를 느껴 문 특보에게 확인했고, 문 특보의 이메일 주소가 사칭된 것을 알아냈다. 문 특보는 “그런 일이 비일비재해서 암호를 자주 바꾼다”고 채널A에 말했다.
앞서 청와대는 올해 초 윤 실장의 개인 계정으로 정부 부처 관계자에게 ‘대북정책 관련 자료를 보내달라’는 이메일이 전송됐다고 밝혔다. 메일을 받은 관계자가 개인 계정으로 발송된 것을 이상히 여겨 청와대에 확인한 덕에 사칭 사실을 알게 됐다고 한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사칭범은) 발송인의 이름과 이메일 주소만 윤 실장인 것처럼 했다”며 “수신인이 답장을 보냈을 경우 윤 실장이 아닌 자신의 이메일 계정으로 들어가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사건 후 비서관급 이상 직원의 이메일 해킹 여부를 전수 점검하는 등 보안 조치를 강화하고 IP 추적도 요청했다”면서 “해외에 있는 서버를 이용해 발송된 메일이어서 추적이 어려웠다”고 덧붙였다. 경찰에는 수사 의뢰를 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최근 청와대 국가안보실을 사칭한 보고서가 여러 외교안보전문가에게 배포된 사건도 있었다. 청와대는 경찰청 사이버수사과에 수사를 의뢰했다. 김 대변인은 “허위조작된 정보의 생산과 유포 과정이 대단히 치밀하다”며 “내용도 한미동맹을 깨뜨리고 이간질하려는 반국가적 행태를 담고 있다”고 했다.
박은주 기자 wn1247@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