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OECD와 적극 협력, 포용성장 및 각종 정책 교류할 것”

입력 2018-11-27 16:20
뉴시스

정부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포용성장은 물론 일부 정책에 대한 공동 연구 결과를 발표하기로 했다.

보건복지부는 “박능후 장관이 26일 오후 4시 서울 프라자호텔에서 앙헬 구리아 OECD 사무총장을 만나 국내 경제·사회 정책 관련해 전반적인 의견을 나누었다”고 27일 밝혔다.

구리아 사무총장은 26일부터 3일간 인천 송도에서 열리는 ‘OECD 세계 포럼’ 참석차 한국을 방문했다. 이날 그는 행사를 마친 뒤 박 장관을 만나 OECD의 ‘한국 포용성장(Inclusive Growth) 정책’ 검토 계획을 알리며 복지부에 적극적인 참여를 요청했다.

박 장관은 “OECD의 평가 계획은 시의적절하고 국제적으로도 꼭 필요한 과제”라며 “한국 정부가 국정 의제로 삼고 있는 포용 국가(Inclusive State)는 경제 부문을 포함해 노동, 보건복지, 교육 등을 아우르는 OECD의 ‘포용성장론’과 일맥상통하는 요소를 다수 갖고 있다”고 답했다.

구리아 사무총장 역시 “포용국가론은 국가 전체 틀을 재편하고 나라가 발전함에 있어 방향을 제시하는 등 강력한 메시지를 전파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복지부와 OECD는 이날 내년 하반기 개최 예정인 ‘가족·아동 정책과 관련한 학술대회’를 공동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현재까지 함께 연구해온 ‘한국의 가족 정책 분석 연구’를 내년 상반기까지 완료한 뒤 진행하겠다는 목표다. 이 자료에는 아동 정책 연구 결과도 같이 반영된다.

구리아 사무총장은 예방의료 정책에 대해서도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한국은 인구 대비 의사 비중이 낮은 데 비해 병상 비중은 높다. 예방보다 치료중심 보건의료체계를 구축하고 있다”며 “향후 고령화에 따른 의료비 급증에 대비하는 예방중심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복지부 관계자는 “OECD와 공동연구 및 교류 활동 등 다양한 협력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해나갈 계획”이라며 “이번 면담에서 합의된 협력 사업은 이후 실무진 협의 등을 통해 더욱 구체화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김누리 인턴기자,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