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제2공항 사전타당성 용역 과정에서 유력 후보지였던 서귀포 신도2 부지가 의도적으로 배제됐다는 의혹이 제기돼 파문이 확산되고 있다.
해당 의혹을 제기한 ‘제주제2공항반대범도민행동’은 “신도 후보지 평가가 조작된 것으로 확인됐다”며 제2공항 건설 계획에 대한 원천취소를 요구했다.
문제가 되는 용역은 2014년 12월부터 2015년까지 진행된 ‘제주공항인프라 확충 사전타당성 검토용역’이다.
최적 부지를 선정하기 위해 현재 공항 예정지인 서귀포 성산을 비롯해 신도2, 하모 등 31곳을 대상으로 조사를 벌였다.
도민행동은 최적 부지선정 과정에서 신도2 부지가 의도적으로 배제된 정황을 포착했다고 주장했다.
도민행동은 “1단계 평가에서 신도1리(예상 공항부지)도 마을에 가까운 곳에 배치해 소음기준 부적합으로 탈락시켰다”며 “위치와 방향이 옮겨지며 소음과 환경성이 악화돼 성산보다 훨씬 낮은 점수를 받게 됐다”고 밝혔다.
또 “바다 쪽에 인접한 더 나은 대안이 2012년에 이미 검토됐음에도 사전타당성 용역 후보지에서는 아무 근거나 설명 없이 배제됐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국토부와 제주도는 더 이상 사회·경제적 비용을 낭비하지 말고 성산 제2공항 입지 선정을 즉각 철회하고, 공항 확충의 필요성·규모·방안에 대해 원점에서 다시 논의하라“고 촉구했다.
국토부는 이에 대해 해명 자료를 내고 “‘제주 공항인프라 확충 사전타당성 검토’ 용역 과정에서 입지평가와 절차는 국제민간항공기구 등 국제기준에 적합하도록 진행했다”며 “문헌조사 등을 통해 공항 건설·운영 측면에서 입지로 적정한 제주도내 31개 후보지역을 선정, 3단계의 세부적인 단계별 평가를 거쳐 최적후보 지역인 ‘성산’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제주=주미령 기자 lalij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