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안보지원사령부(군사안보지원사)가 조현천 전 기무사령관의 소재를 알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무사 계엄 검토 문건의 핵심 인물에 대한 소재 파악이 늦어지면서 수사가 장기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국회 정보위원회 더불어민주당 간사인 김민기 의원은 2일 브리핑에서 안보지원사가 ‘조현천 전 사령관의 미국 소재지를 파악하고 있느냐’는 질문에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알고 있지 못한다”고 답변했다고 밝혔다.
기무사 계엄 검토 문건 의혹을 수사 중인 민·군 합동수사단(합수단)은 그동안 미국에 체류 중인 조 전 사령관의 지인과 가족들을 통해 자진 귀국을 설득해왔지만, 소환이 이뤄지지 않으면서 뒤늦게 법원으로부터 체포영장을 발부받아 여권 무효화 조치에 나선 상태다. 조 전 사령관이 이달 중순까지 여권을 반납하지 않으면 무효 처리된다.
합수단은 지난달 19일 같은 의혹을 받는 김관진 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한민구 전 국방부 장관을 소환해 조사했다. 김 전 실장과 한 전 장관은 관련 의혹을 부인했다.
김 의원은 또 “2016년 10월부터 2017년 5월까지 조 전 사령관의 차량 운행 기록부를 제출받았다”고 말했다. 민군 합수단도 조 전 사령관의 관용차량 운행기록을 확보해 수사를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의원이 제출받은 운행 기록에 따르면 조 전 사령관은 2016년 11월 15일, 12월 5일, 12월 9일, 2017년 2월 10일, 5월 9일에 청와대를 방문했다. 김 의원은 “마지막 5월 9일 대선 날 청와대에 45분간 갔다. 5월 10일에는 조 전 사령관이 국회에 방문한 일이 있다”며 “(계엄령) 실행 의지가 분명히 있었다고 질의했다”고 말했다.
자유한국당 간사인 이은재 의원은 “수사단에서는 계엄 문건만 수사하도록 돼 있지만, 댓글 사범 등 별건 수사를 하고 있다”며 “계엄 문건만 수사해야지 나머지는 일반 군 검찰에 넘겨야 하는 게 아니냐는 질의가 나왔다. 수사단에서는 부적절한 수사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름이 바뀌고 직제는 바뀌었지만 일을 하는 내용은 크게 바뀐 게 없다. ‘도로 기무사’로 돌아가지 않았느냐고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심희정 기자 simc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