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탈원전으로 영국 원전 수주를 망쳤다”는 자유한국당 측 주장에 ‘전형적인 발목잡기’라고 반박했다.
백혜련 더불어민주당 대변인은 1일 ‘영국 원전 사업 관련, 자유한국당은 전후사정과 팩트부터 확인하라’는 논평을 내고 “자유한국당은 한국전력의 영국원전 우선협상자 지위 해지가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기인한 것이라는 말도 안 되는 주장으로 여론을 호도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앞서 윤영석 자유한국당 수석대변인은 이날 오전 ‘한국의 나홀로 탈원전정책, 원전산업 뿌리째 흔들린다’는 논평을 내고 “한국전력이 영국 무어사이드 원전 건설의 우선협상대상자 지위를 상실했는데 영국 언론에서는 한국의 정권교체와 신임 한전사장 임명으로 불확실성이 조성됐기 때문이라고 했다”며 “정부의 무리한 탈원전 정책이 22조원 원전 수주를 어렵게 했다고 볼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윤 수석대변인 외에도 윤상직·홍일표 등 다른 자유한국당 의원들도 우선협상대상자 지위 상실 소식에 “탈원전 정책을 추진하는 한국에서 영국으로 기자재 등을 납품할 수 있는지가 계약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며 “원전 건설이 문제가 아니라 건설 후에도 지속될 유지·보수 작업이 탈원전 정책으로 불투명해졌다는 것을 고려한 결정일 것”이라는 입장을 냈다.
백 대변인은 자유한국당 측 주장에 대해 “우선협상자 지위 해지는 영국 정부와 일본 도시바의 새로운 수익모델 도입 및 리스크 경감 방안을 심도있게 논의하기 위한 것”이라며 “한전이 공동 연구에 참여하기로 했기 때문에 수익성 및 리스크 경감방안이 확보되면 협상은 지속하는 것이며 도시바 역시 한전을 최우선으로 해 협상을 지속한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반박했다. 이어 “자유한국당은 마치 문재인정부 때문에 해지가 된 것이라고 하지만 우선협상자 선정은 지난해 12월에 선정돼 문재인정부에서 우선협상자 선정을 시작한 것이 팩트”라고 덧붙였다.
백 대변인은 또 “영국 원전 사업은 민간투자방식의 대규모 사업으로 리스크가 크기 때문에 철저히 따져야 한다는 입장을 지난해 국정감사에서도 밝힌 바 있다”며 “많게는 20조원이 들어가는 사업에 돌다리도 두드려보고 건너는 신중을 기해야 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이런 상황에서 자유한국당의 본말전도식 침소봉대는 하등 국익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꼬집었다.
김종형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