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정상회담 8월 개최설에 靑 “결정된 바 없다”

입력 2018-08-01 10:43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지난 4월 27일 판문점 평화의 집에서 열린 남북정상회담에서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 통일을 위한 '판문점선언'에 서명한 뒤 포옹하고 있다. 뉴시스

청와대가 서훈 국가정보원장의 이달 말 남북 정상회담 추진을 위한 방북 가능성에 “확정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다만 남북과 미국의 종합적인 상황을 고려했을 때 정상회담 조기 개최 가능성이 있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1일 기자들에게 문자메시지를 발송해 “정상회담과 관련해 아무것도 결정된 바 없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8월 남북 정상회담 가능성과 관련해 전날 “지금까지 얘기된 바 없다”고 답했다. 다만 “남북 간 문제는 진행 상황에 따라 속도가 빨리 나가기도 하고 늦춰질 수도 있는 부분이 있다”며 “양측 간 고도의 정무적 판단이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가능성을 열어뒀다.

남북 정상은 지난 4월 27일 ‘판문점 선언’을 통해 “올 가을 평양에서 정상회담 개최”를 합의했다. 가을은 통상적으로 9월 이후를 의미한다. 그러나 북미 간 비핵화와 후속조치, 종전선언 등을 두고 입장차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한국정부가 남북 정상회담 시기를 앞당겨 ‘중재자’ 역할을 해야 한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굵직한 외교 행사가 연이어 열리는 점도 남북 정상회담 조기 개최 설에 힘을 싣고 있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현재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연쇄 외교장관 회의를 위해 출국한 상태다. 이영호 북한 외무상도 참석할 것으로 예상돼 싱가포르에서 남북 장관급 회담이 성사될 가능성이 높다. 남북 양자회담이 성사되면 자연스럽게 남북정상회담 시기문제도 안건으로 삼을 것으로 보인다.

다음달 초·중순경에는 러시아 불라디보스토크에서 동방경제포럼, 뉴욕에서 유엔총회가 예정돼 있다. 특히 정부는 오는 9월 유엔총회에서 남북미 정상회담 개최 가능성을 언급했다. 북미 협상이 교착상태를 겪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는 9월 유엔총회 전에 협상에 동력을 불어넣기 위한 무언가가 필요한 상황이다. 한 예로 남북 정상은 6·12 북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지난 5월 26일 긴급히 2차 남북 정상회담을 가졌다.

외교 행사가 많으면 그 만큼 남북 정상회담의 주목도가 떨어지고 개최 변수가 커질 수 있다는 관측도 많다. 또 다음달 9일은 ‘북한 정권 수립 70주년’이다. 북한 입장에서는 중요한 행사이니 만큼 9월 9일 전에 남북 정상회담 조기개최를 통해 외교적 성과를 거두려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달 말 정상회담을 개최하기에는 시간이 촉박해 물리적으로 어렵다는 시각도 있다.

박태환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