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2세 아이들에게 주 3회 이상 코를 고는 습관성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이 많고 2세 미만 영유아에게는 불면증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을지대 을지병원 소아청소년과 안영민 교수팀은 서울 및 경기지역 병원 외래 진료를 본 소아청소년 901명(남 466명, 여 435명)을 대상으로 수면문제 유형별 분석 결과 3명 중 1명은 코골이가 있었으며, 그 중 절반은 주3회 이상의 습관성 코골이를 앓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3일 밝혔다.
대상자 연령별 분포는 유아(0~1세) 201명 , 미취학 아동(2~5세) 477명 , 취학 연령 아동(6~12세) 206명 , 청소년(13~18세) 17명 등이다.
조사 대상의 31.6%는 최소 주1회 이상 코를 고는 것으로 나타났다. 16.9%는 주3회 이상 코를 고는 습관성코골이 증상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 외 수면 문제들은 이갈이 21.1%(190명), 야경증 19.0%(171명), 수면무호흡 15.1%(106명), 불면증 13.2%(119명)의 빈도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 보면 습관성코골이와 수면무호흡은 2~12세에 많고, 2세 미만의 아동에게도 습관성코골이는 있었지만 불면증이 더 흔하게 발생했다. 특히 습관성 코골이 아이에게서 수면무호흡, 야경증, 이갈이 증상 발생 빈도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습관성코골이를 앓고 있는 어린이는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수면무호흡 위험도가 4배나 높았다.
그밖에도 비만 소아청소년(108명) 중 42.6%가 코골이 증상을 보여 비만이 아닌 어린이(785명)의 30.4%(235명)보다 코골이 빈도수가 높았다. 비만 소아청소년의 수면무호흡 빈도수(26.9%)도 비만 아닌 경우(17.0%) 보다 높았다.
안 교수는 “2~12세에 습관성코골이와 수면무호흡이 흔하고, 불면증은 2세 미만의 아동에게서 더 발생한 결과가 유의미하다. 3세 이하의 소아에게서 나타나는 습관성 코골이를 방치하면 주의력 결핍, 주간졸림증 등의 후유증이 학동기에 남고 폐쇄성 수면무호흡의 발생 위험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코골이는 수면호흡장애의 한 측면으로 수면무호흡과 야경증, 불면증의 상관관계는 여러 연구에서도 입증된 바 있다. 코골이나 폐쇄성 수면무호흡을 치료한 아이들은 사건수면(parasomnia : 잠이 들 때나 잠을 자고 있을 때 혹은 잠이 깨고 있을 때 하는 원치 않는 행동이나 생각)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된다. 만약 야경증, 잠꼬대, 이갈이 증상이 있는 자녀를 둔 경우 먼저 코골이 증상이 있는지부터 의사와 함께 상담하고 치료를 받아야 한다.
만약 수면무호흡을 방치할 경우 부정맥, 심부전, 성장 장애나 우울증, 주의력 결핍 등 신체적, 정신적으로 심각한 상태를 초래할 수 있으며 특히 청소년기의 고혈압과 심장질환, 지방간, 당뇨를 악화시킨다.
이번 연구결과는 지난해 대한소아과학회지에 발표됐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