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병대 헬기 추락’ 軍·靑 대응에 쏠리는 비판…“여론 나빠지니까 움직인다”

입력 2018-07-20 11:02
마린온 추락 영상 갈무리

해병대 상륙기동헬기 ‘마린온’ 추락 사고 이후 군 당국의 대응에 대해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사고가 발생한지 하루 만인 지난 18일 청와대 국민청원 및 제안 게시판에는 ‘포항 해병대 헬기 사고 유족을 두 번 죽이면 안됩니다’는 청원이 올라왔다. 자신을 헬기 사고로 사망한 박재우 상병의 작은 아버지라고 밝힌 청원자는 “사고 당일인 어제 밤 유가족이 포항 부대에 가니 부대 측에서는 사단장도 유가족에게 찾아오지 않았고 유가족들도 각자 다른 곳에 위치시켜 서로 만날 수 없었다”면서 “갑자기 언론에 영결식은 비공개로 진행할 것이라는 보도가 나왔는데, 유가족은 관련 통보를 받은 적이 없고 허락한 적도 없다”고 주장했다.

유족들은 청와대와 국방부 등 군 당국이 사고 처리에 대해 이목이 집중되자 뒤늦은 수습에 나섰다고 보고 있다. 실제로 국방부는 사고 다음 날인 18일 브리핑을 준비했지만 돌연 취소했다. 당시 국방부 대변인은 “협의를 거친 내용”이라고 언급했다. 국방부는 사고 발생 후 이틀이 지나고 문재인 대통령이 “희생당한 분들과 그 유족들께 깊은 애도의 말씀을 드린다”고 말한 후에야 ‘해병대 헬기 추락 사고 희생자 가족께 드리는 국방부 장관의 글’을 발표했다. 그러나 이 글도 유가족에게 먼저 전달하지 않았다.

마린온뿐 아니라 군 당국의 장비 운용에 대해 전면적으로 조사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사고 원인이 마린온 제작사인 한국항공우주산업(KAI)에 문제가 있다는 인식에서다. 마린온 추락이 KAI 주관인 정기 정비를 받은 뒤에 발생했으므로 책임도 져야한다는 것이다. 사고 당시 떨어져나간 로터 부분에서 사고 직전 소음과 진동이 났지만 이를 사전에 찾아내지 못했다는 지적도 이어졌다.

한편 ‘군 당국이 청와대·여론 눈치만 보고 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세계일보는 19일 “마린온 추락 영상을 공개하는 데 청와대와 군 사이 이견이 노출됐다”면서 “국방부와 청와대가 마린온 추락의 진실을 알리는 데 주저했다는 점에서 논란이 예상된다”고 보도했다. 군 당국은 사고 이후 논란이 커진 뒤에야 뒤늦게 영상을 공개했고, 대통령 입장 표명도 이후 이뤄졌다.

김종형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