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7일 헬기 추락사고로 숨진 해병대원들의 영결식이 유족들의 반발로 미뤄지고 있다.
18일 군 관계자에 따르면 군 당국은 이날 오전 10시부터 사고로 순직한 해병대원 5명의 유가족과 만나 사고 경위를 설명하고 장례 절차 등을 논의했다
유족들은 정확한 사고원인을 조사한 뒤 영결식을 진행하자며 현재 분향소 조문을 거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유족 측은 “사고원인이 나오지 않았고 관련자 처벌도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 장례 절차 협의는 있을 수 없다”며 군 당국에 항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사망자 2명의 신원은 밝혀졌지만 남은 3명의 시신이 사고 당시 불에 타 신원 확인이 어려운 상태다. 이에 군 당국은 DNA 검사를 통해 신원을 최종 확인하기로 했다.
군 당국은 유족들의 동의를 얻어 사고 대원들의 가족 DNA를 채취한 뒤 시신들과 함께 서울 국방조사본부로 이송한 상태다.
앞서 18일 오후 헬기 추락사고로 사망한 A대원의 작은아버지가 청와대 국민청원 및 제안 게시판에 ‘포항 해병대 헬기 사고 유족을 두 번 죽이며 안됩니다’라는 제목의 청원이 올려 군의 사고 대응 자세에 문제를 제기한 바 있다. 이에 유족들은 19일 해병대 측에 중립적인 조사위원회 구성을 촉구했다.
해병대는 19일 사고 조사를 위해 해병대사령부 전력기획실장을 위원장으로 육·해·공군과 기품원 등 항공사고 전문가 23명으로 조직된 사고조사위원회를 구성했다. 현재 조사위는 해병대 측이 18일 공개한 사고 당시 CCTV를 통해 사고기의 기본설계와 기체 결함 등 가능성을 우선 규명하는 작업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해병대는 헬기 추락사고로 사망한 장병 5명에 대해 일계급 특진을 추서했다. 이어 추락 사고 원인이 확인될때까지 일선 부대에 배치한 같은 기종의 상륙기동헬기 운항을 전면 중단했다.
이진민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