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 시장은 13일 보도된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지금 단계에서 가덕도라고 굳이 주장하고 싶지 않다”고 말했다. 오 시장은 “24시간 안전한 관문공항이 돼야 한다. 그런 면에서 김해 신공항은 적합하지 않다. 부산, 울산, 경남이 태스크포스를 만들어 김해 신공항 결정 과정을 재검토하면 허점이 나올 수 있다”고 설명하며 이 같이 말했다.
이에 대해 부산시청 대변인실 관계자는 “그런 표현이 얼핏 들어가긴 했지만 그런 표현이 들어갔다고 해서 입장이 바뀐 건 아니다”고 해명했다. 이어 “가덕신공항 재추진에 대해 입장이 바뀐 건 없다”고 다시 한번 강조했다.
대변인실의 설명 등을 종합하면, 오 시장의 논리는 ‘동남권 관문 공항이 필요한데 김해신공항은 적합하지 않으니 이를 제대로 검토한다면 결국 가덕신공항이 대안이 될 것’이라는 것이다. “지금 단계에서 굳이 주장하고 싶지 않다”는 발언의 배경에도 이러한 인식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제대로 검토하면 가덕신공항으로 답이 나올 테니 굳이 가덕신공항이라고 당장 주장하지 않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이 같은 모호한 발언은 오 시장이 6월 지방선거 과정에서 보인 태도와는 결이 다르다. 오 시장은 6월 지방선거 과정에서 ‘가덕신공항 재추진’을 분명하게 언급했었다. 오 시장이 선거 과정에서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제출한 5대 공약 중 첫 번째 공약에 ‘가덕신공항 재추진’이 적혀있다.
오 시장은 이날 인터뷰에서 가덕신공항 공약에 대해 “후보 시절이 아닌 시장 입장에서 이 문제는 한 템포 늦추는 게 좋다는 생각이다. 개인이 하고 싶다고 해서 되는 게 아니다”고도 말했다. 하지만 오 시장이 직접 선관위에 제출한 공약을 보면, 가덕신공항 재추진과 관련해 구체적인 사업 이행 기간까지 적혀있다. 오 시장은 2018년에 김해신공항 타당성을 재검토하고, 2020년까지 기본 계획과 설계를 마친 뒤 2021년 이후 착공하겠다고 밝혔다.
‘가덕신공항’과 관련된 논란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방선거 과정에서도 당시 후보였던 오 시장이 “가덕신공항은 이미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공약이었다”고 주장하면서 논란이 됐다. 문 대통령은 지난 대선 과정에서 ‘동남권 관문공항’을 약속했지만 가덕신공항 건설이나 김해신공항 기능 강화 등 구체적인 방안까지 명확히 밝히지는 않았기 때문이다.
당시 청와대 핵심 관계자 역시 “(문 대통령이 공약한) 동남권 관문공항 공약이 가덕신공항 건설을 구체적으로 지칭한 건 아니었다”고 설명했다. 민주당 역시 “신공항 문제는 여러 지역 간 갈등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여서 중앙당 차원의 지방선거 공약집에는 포함시키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김판 기자 p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