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10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 정상회담을 갖고 신(新)남방정책을 가속화한다. 이번 정상회담은 외교·안보 중심이 아닌 ‘경제’가 핵심 의제가 될 예정이다.
신(新)남방정책은 문 대통령이 2017년 11월 공식적으로 천명한 정책으로 사람(People)·평화(Peace)·상생번영(Prosperity) 공동체 등 ‘3P’를 핵심으로 아세안 국가들과 협력해 미국·중국·일본·러시아 수준으로 관계를 끌어 올린다는 계획이다.
문 대통령은 전날(9일) 인도 뉴델리에서 한·인도 비즈니스포럼에 참석해 한국의 신남방정책과 인도의 신동방정책 간 연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기조연설에서 “한국은 인도와의 관계를 한반도 주변 4대강국(미국·중국·일본·러시아) 수준으로 끌어올리려고 한다. 그 의지를 담은 것이 신남방정책”이라며 “신남방정책은 인도의 신동방정책과도 맞닿아 있다”고 말했다.
이어 기존 신남방정책의 3P 키워드에서 더 나아가, 인도와의 경계협력 계획 ‘3P 플러스’를 제시했다.
3P 플러스의 핵심은 ▲ 인도 정부의 제조업 부흥 정책 ‘메이크 인 인디아(Make in India)’와 연계해 조선, 의료기기, 식품가공 등 제조업 분야 한국기업들의 인도 진출 ▲ ‘인도 스마트시티 100개 건설’ ‘주요 도시 간 산업 회랑 건설’ 등 인도정부 주도의 대규모 인프라 사업 참여 ▲ 100억 달러 규모의 한-인도 금융패키지 활성화 ▲ 기존 과학기술 협력을 산업기술까지 확대한 ‘미래비전 전략그룹 설립’ 등이 있다.
양국은 10일 정상회담에서 한국 측의 3P 플러스 계획을 비롯한 실질적인 경제협력 계획을 논의할 계획이다.
문 대통령은 10일 오전 인도 대통령궁에서 공식환영식을 가진 뒤 영빈관으로 이동해 모디 총리와 최소 수행원만 배석한 단독회담을 갖는다. 이어 양측 수행원이 모두 자리하는 확대회담에서 논의를 이어 갈 예정이다.
두 정상은 회담을 마친 후 ‘한-인도 CEO 라운드테이블’에 참석 할 예정이다. 이후 문 대통령은 모디 총리 주최 오찬을 함께 한 뒤 양해각서(MOU) 서명식에 임석한다. 이어 정상회담 결과를 공동언론발표 형태로 알릴 예정이다.
인도는 13억명에 달하는 인구를 바탕으로 한 10조 달러의 구매력을 지닌 ‘신흥경제대국’이다. 또한 매년 7% 이상의 경제 성장을 통해 세계 3위의 경제 대국으로 부상하고 있다.
최근 미·중(G2) 간 무역전쟁으로 인해 수출의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이날 정상회담을 통해 정부가 한국 경제의 새로운 활로를 찾을 수 있을지 세간의 관심이 집중되는 상황이다.
박태환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