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 95%는 현행 국회의원 특수활동비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개선과 폐지를 놓고서는 의견이 갈렸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는 9일 CBS의 의뢰를 받아 전국 성인 501명을 대상으로 수행한 특활비 관련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특활비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 묻는 질문에 대해 응답자의 52.8%는 ‘투명한 공개 등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고 답했다. 42.3%는 ‘폐지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국민 95.1%가 특활비를 손봐야 한다고 답한 것이다. ‘현행 유지’는 2.1%, ‘잘 모른다’는 응답은 2.8%에 그쳤다.
대구·경북(TK)과 충청권, 수도권 지역과 40대 이하 연령층,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에서는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반면 호남과 부산·경남·울산(PK), 50대, 정의당과 자유한국당 지지층에서는 ‘폐지해야 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지지정당별로는 민주당 지지층(제도 개선 57.1%·폐지 40.7%)에서는 개선 여론이 우세했으나 정의당(46.6%·52.4%)과 자유한국당 지지층(42.6%·폐지48.5%)에서는 폐지 여론이 우세했다. 무당층(46.8%·43.8%)에서는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념성향별로는 중도층(56.4%·39.6%)과 진보층(55.0%·42.4%), 보수층(51.2%·44.9%) 등 모든 이념성향에서 개선 여론이 다수였다.
연령별로는 20대(57.7%·39.8%)와 30대(67.6%·4.6%), 40대(52.0%·42.5%)에서는 개선 여론이 과반이었으나 50대(45.2%·52.7%)에서는 폐지 여론이 절반 이상이었다. 60대 이상(46.2%·47.4%)에서는 폐지와 개선 여론이 경합했다.
이번 조사는 전국 19세 이상 성인 501명을 대상으로 무선(10%)·전화면접 및 무선(70%)·유선(20%) 무작위생성 표집틀을 통한 임의전화걸기 자동응답 방식으로 실시됐다.
통계보정은 2018년 1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 통계 기준 성, 연령, 권역별 가중치 부여 방식으로 이뤄졌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4.4%p다.
이재빈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