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 바다의 공포’ 적조… 해수부 선제대응 나선다

입력 2018-06-28 13:40
뉴시스


해양수산부가 올여름 기승을 부릴 것으로 예상되는 적조의 종합대책을 추진하키로 했다.

해양수산부는 28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대규모 적조 발생 시 피해가 우려된다”며 ‘2018년도 적조·고수온 피해 최소화를 위한 종합대책’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아시아 태평양 경제협력체 기후센터(APCC)은 “올해 적조와 고수온은 중규모로 발생하고 7월 하순경에 특보가 발령될 전망”이라고 경고했다. 올여름 표층수온은 평년보다 0.5~1.0℃ 높고, 적조의 원인 중 하나인 대마난류도 강해질 것으로 보인다.

해수부는 5단계 사전대책으로 대응할 계획이다. 먼저 적조·고수온 발생 후 주의보 발령 시 종합상황실(수산정책실장)을, 경보 발령 시 중앙수습본부(장관)를 운영할 방침이다. 긴급상황 발생 시에는 담당국장을 반장으로 긴급대응반을 운영하고 현장 파견관도 배치하기로 했다. 정부는 오는 29일 관계부처, 지자체 대책협의회를 열 계획이다.

또 적조와 고수온이 우려되는 지역의 어민들과 6~7월에 3차례 현장간담회를 갖고 유관기관 합동사전모의훈련도 같은 기간에 실시할 예정이다. 신속한 예찰과 방제작업을 위해 국비 38억원을 지원한다.

정부는 ‘적조정보시스템’의 모바일 앱인 ‘적조정보서비스’를 활용해 예찰·예보 시스템을 강화하고 신속하게 정보를 제공하기로 했다. 전국 236개 지점에 대한 정기조사 예찰도 실시한다.

6~7월을 ‘적조·고수온 집중 대비기간’으로 규정해 관련지침을 준수하도록 하는 등 어업인 자율방제도 추진한다. 마지막으로 양식수산물 재해보험 제도와 표준사육지침 등 제도 개선을 추진하기로 했다.

신현석 해수부 수산정책실장은 “피해를 얼마나 최소화하느냐가 중요하다”며 “적조·고수온 피해 최소화를 위한 대책을 기반으로 적극 대응해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재빈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