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고 김종필 전 국무총리에게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추서키로 했다고 25일 밝혔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오전 춘추관 정례브리핑에서 “김 전 총리에 대한 추서 문제는 김부겸 행정안전부 장관이 준비되는 대로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이어 “추서하러 가는 김 장관에게 문 대통령은 ‘유족들에게 예우를 갖춰 애도를 표하라’는 뜻을 전달했다”면서 “문 대통령의 조문은 이것으로 갈음한다”고 설명했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최근 돌아가신 전직 총리로는 이영덕, 박태준, 남덕우, 강영훈 네 분이 있다”며 “이 가운데 이영덕, 남덕우 전 총리는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추서 받았고 박태준, 강영훈 전 총리는 생전에 무궁화장을 받았다”고 부연했다. 강영훈 전 총리의 경우 사망 후에 청조근정훈장을 추가로 받았다. 청조근정훈장은 공적이 뚜렷한 공무원에게 수여하는 훈장이다. 무궁화장은 일반인이 받을 수 있는 가장 높은 등급의 훈장이다.
이 관계자는 또 문 대통령이 직접 조문하지 않는 것에 대해 “대통령께서는 취임 후 직접 조문한 적이 없다”고 짧게 답했다. 정치권 일각에서 김 전 총리의 훈장 추서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청와대 홈페이지에도 비슷한 내용의 청원이 다수 등록된 것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의견이 있는데 고려해서 이런 결정을 내렸다고 이해해 주시길 바란다”고 전했다.
이번 훈장 추서 논란은 이낙연 국무총리가 지난 23일 서울아산병원에 마련된 김 전 총리 빈소를 찾아 “한국 현대사의 오랜 주역이셨던 공적을 기려 소홀함 없이 모시겠다. 훈장 추서를 하기로 내부적으로 정했다”고 말하며 불거졌다. 이후 5·16군사정변의 주역이었던 김 전 총리에게 훈장을 추서하는 것은 적절하지 못하다는 지적이 곳곳에서 나왔다. 특히 맛 칼럼니스트인 황교익씨가 자신의 페이스북에 “김종필은 총으로 권력을 찬탈했고 독재권력의 2인자로서 호의호식했다. 징글징글했다”는 내용의 강도 높은 비난 글을 올려 논란이 가열됐다.
이정미 정의당 대표도 25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진행된 상무위원회에서 “개인의 삶과 죽음에 대해 함부로 말할 수 없고 떠나는 이에 대한 예는 다해야 하지만 역사적 평가는 다른 차원의 문제”라며 훈장 추서 반대 의견에 힘을 더했다. 군인권센터는 “5·16 군사 쿠데타 주모자이자 한일협정의 원흉인 김종필 전 국무총리에게 훈장을 추서하는 것을 반대한다”고 비판했다.
박은주 기자 wn1247@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