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2일 북미정상회담의 결과로 발표된 공동선언문에 대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매우 포괄적인 문서이며 양측이 만족할 만한 결과”라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하지만 외신들은 합의문에 구체적인 방안이 언급되지 않았다는 점을 한계로 지적했다.
외신들은 미국 대통령과 북한 지도자가 역사상 처음으로 정상회담을 갖고 한반도의 핵 공포를 외교로 극복했다는 점을 우선 높이 평가했다.
워싱턴포스트(WP)는 “트럼프 대통령이 역사적 정상회담에서 놀라운 도박을 통해 ‘불량국가’에 대한 수십년에 걸친 미국의 정책을 뒤바꿔 놓았다”면서 “그의 개인적 관심사 덕분에 군사적 대치상황을 피하고 핵 관련 벼랑끝 전술의 사이클을 끊어냈다”고 평가했다.
로이터통신도 이날 합의를 리처드 닉슨 전 대통령이 1972년 공산주의 국가인 중국을 방문, 마오쩌둥 당시 주석과 만나 미중 데탕트 시대를 연 것과 비교하며 “만약 이를 통해 영속적인 긴장완화가 가능하다면 이는 동북아시아의 안보 지형을 근본적으로 바꿀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나 외신들은 북한이 한반도의 비핵화를 선언했음에도 핵 폐기에 관한 시기 등 세부사항을 구체적으로 약속하지 않았다는 점을 이번 공동선언문의 한계로 지적했다.
뉴욕타임스는 “공동성명이 과감한 변화를 약속했지만 세부사항이 부족하다”고 평가했다. 북한이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약속했으나 핵무기를 포기하는 것과 관련해 구체적인 시점이나 세부 사항도 제공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아틀랜틱(The Atlantic)은 북한이 트럼프 정부가 오랫동안 요구해온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돌이킬 수 없는 핵 폐기(CVID)’를 약속하지 않았다는 점을 들어 “트럼프가 김정은으로부터 거의 아무것도 얻어내지 못했다”고 평가했다. 지난 4월 김 위원장이 남북정상회담 판문점 선언에서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위한 노력’이라고 발표한 것을 재확인했을 뿐이라는 것이다.
워싱턴포스트 역시 북한이 과거 여러 차례 약속하고 무시해 왔던 한반도 비핵화 약속 이상의 구체적인 내용이 거의 없었다고 보도했다. 로이터통신도 “어떻게 이 목표를 달성할지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이 별로 없다”고 지적했다.
김지애 amo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