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에 사는 김 모씨는 치과에 대한 걱정으로 잠을 이루지 못하고 있었다. 충치가 생긴 것 같아 방문한 치과에서 임플란트 권유를 받은 후 생각지도 못하게 자연치아를 잃을 수 있다는 불안감에 휩싸인 것이다. 김 모씨는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지역 내 큰 병원을 찾았는데, 보존치료를 통해 치아를 살려보자는 답변을 들을 수 있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충치에 대한 걱정과 두려움을 안고 살아간다. 문제는 우리가 통증을 느끼거나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정도로 충치가 상당히 진행된 후에 치과를 찾는 경우다. 증상이 악화된 상태에서 치과를 찾다 보니 통증과 비용 부담은 물론 자연치아를 발치 하는 상황까지 발생할 수 있다.
다행스러운 것은 최근 치의학계가 발전을 거듭하면서 자연치아를 최대한 살릴 수 있는 보존치료도 함께 발전하고 있다. 보존치료란 충치가 된 부분을 삭제하고 그 부분을 치아와 유사한 인공재료로 채워 넣거나 부착함으로써 치아의 기능을 되살리고 통증과 증상을 해소하는 치료를 말한다. 보편적으로 진행하는 레진, 인레이, 크라운 모두 자연치아를 살리는 보존치료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심한 충치 때문에 신경에도 염증이 발생하여 통증이 심한 경우에는 치아에 있는 충치 부분과 신경을 제거하는 신경치료(근관치료)도 자연치아를 살릴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과거에는 심한 충치의 경우 발치를 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자연치아를 살리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연구되면서 신경을 제거하더라도 주변 조직이 살아있어 자연치아로써 기능을 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됐다.
신경치료의 경우 보존치료의 경험이 많은 대한치과보존학회 인정의나 치과보존과 전문의에게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신경의 위치나 길이, 손상 정도를 정확하게 파악하여야 치료과정에서 통증이 덜하고 결과가 만족스럽기 때문이다.
부산 덕천에 위치한 굿윌치과병원의 류길주 원장은 “충치를 오랜 기간 방치하면 신경치료도 불가능하기 때문에 결국 임플란트를 심을 수밖에 없어 안타깝다”며 “너무 늦은 치과 방문은 증상의 악화를 초래하여 치료방법이 줄어들게 되므로 자연치아를 살리기 위해서는 정기적으로 치과에 내원하여 검진을 받는 것이 가장 좋다”고 전했다.
전재우 기자
내 치아 그대로 사용 가능한 자연치아 살리는 '보존치료'
입력 2018-06-05 0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