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가 사람 개입 없이 인공지능(AI)만으로 뉴스를 배치하는 ‘완전한 AI 뉴스편집 서비스’ 도입에 속도를 낸다. 앞서 네이버는 자사의 뉴스 편집에 공정성 시비가 끊이지 않자, AI 뉴스편집 서비스를 도입해 뉴스 편집에서 손을 떼겠다고 발표했었다.
하지만 AI 역시 사람이 설계한 알고리즘을 따르기 때문에 공정성 논란에서 자유로울 순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알고리즘을 설계하는 권한은 네이버가 전부 쥐고 있다.
네이버는 지난 31일부터 모바일 뉴스 섹션에 AI 헤드라인 서비스를 시범 적용했다고 1일 밝혔다. AI가 최신 기사들을 이슈별로 묶어 ‘묶음 기사’를 만들어 내고 묶인 기사 중 하나를 뽑아 ‘대표 기사’로 노출시키는 서비스다.
AI 헤드라인 서비스는 네이버 AI 추천 시스템인 에어스(AiRS)가 수많은 기사 중에서 비슷한 주제를 다룬 기사를 모아 묶음 기사를 만드는 것부터 시작한다. 묶음 기사 수백여개를 만들고나면 그 중 14개만 추려 뉴스 섹션 메인화면에 배열한다. 기사를 선정하고 줄 세우는 기준은 최신성과 묶음 내 기사 개수, 기사 길이 등이다. 로그인을 하든 안 하든, 이용자의 뉴스 소비 성향이 어떻든지간에 상관 없이 AI가 선정한 14개 묶음 기사는 누구에게나 같은 주제·순서로 노출된다.
다만 묶음 기사의 대표 기사는 이용자별로 다 다르다. AI는 묶음 기사에 포함된 수십 개의 기사 중 이용자의 뉴스 소비 성향에 가까운 기사를 대표 기사로 꼽는다. 묶음 기사 내 기사 배치 순서도 AI가 결정한다.
최근 네이버가 공정성 논란 해소를 위해 AI 뉴스 편집 서비스 도입에 속도를 내고 있지만, AI의 공정성에도 한계가 있다. AI 알고리즘을 설계할 때부터 특정 집단에 유리한 방향으로 기사선정 기준을 조정할 수 있어서다.
네이버는 외부 검증기관인 ‘뉴스 알고리즘 검토 위원회’를 만들어 알고리즘을 검토할 계획이라 알고리즘의 적정성은 문제될 게 없다는 입장이다. 실제 네이버는 지난 30일 컴퓨터 공학·정보학·커뮤니케이션 총 3개 분야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알고리즘 검토 위원회를 발족했다.
하지만 알고리즘 검토 위원회가 공정성 논란을 잠재우긴 어렵다. 네이버는 ‘가짜뉴스’나 ‘댓글조작’ 등 외부 비판이 일 때마다 외부 인사가 참여하는 위원회를 만들었지만 정작 외부 논란이 사그러진 적은 없다.
알고리즘 검토 위원회가 AI의 공정성을 얼마나 담보해줄지도 미지수다. 앞서 다음이 네이버보다 먼저 AI 뉴스 편집을 도입하며 편집 알고리즘을 공개했지만, ‘최신 뉴스에 가중치를 뒀고, 이미 봤던 뉴스는 덜 노출 시킨다’는 정도의 방향성을 설명하는 데 그쳤다.
오주환 기자 johnny@kmib.co.kr